2016년 9월 발표한 최신 중국 도시 분류법 소개

중국 경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만의 독특한 도시 분류 기준을 알아야 한다. 중국은 각 도시가 가진 정치적 능력과 경제 및 지형적 규모, 다른 지역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도시를 5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격 요건에 100대 중점 대학이나 글로벌 500대 기업 진출 수, 국제공항 및 항만 노선 수 등도 포함시켜 종합적인 비즈니스 경쟁력으로 등급을 매긴다.
1선 도시는, 경제가 매우 발달되어 소비 수준이 높은 곳으로, 인구 1000만명이상의 성이나 도시를 말한다. 전국 정치∙문화∙교육 중심 도시인 ‘베이징(北京)’, 전국 경제 중심 도시인 상하이(上海), 경제발달과 함께 중국 3대 도시인 ‘광저우(广州)’, 특구도시인 ‘선전(深圳)’ 등이 포함됐으나, 2014년 이후 경제적으로 중요한 항구를 끼고 있는 ‘텐진(天津)’도 대열에 합류했다.
2선 도시는, 경제가 비교적 발달되어 소비 수준이 어느 정도 높은 곳으로, 인구 500만~1000만명, 면적 100㎢, GDP 1000억위안 이상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중간급 성이나 도시다. 항저우(杭州), 난징(南京), 지난(济南), 충칭(重庆), 칭다오(青岛), 다롄(大连), 닝보(宁波), 샤먼(厦门) 등이 대표적인 2선 도시에 속한다.
최근에는 2선 도시에 약간 못미치고 3선 도시보다 높은 도시를 ‘2선 중급 도시’, ‘2급 발전 미약 도시’로 명명해 2선 대열에 맞췄다. 2선 중급 도시에는 청두(成都), 우한(武汉), 하얼빈(哈尔滨), 선양(沈阳), 시안(西安), 창춘(长春), 창샤(长沙), 푸저우(福州), 정저우(郑州), 서지아장(石家庄), 쑤저우(苏州), 푸샨(佛山), 둥관(东莞), 우시(无锡), 옌타이(烟台), 타이위안(太原) 등 16개 도시가 속하고, 2급 발전 미약 도시에는 허페이(合肥), 난창(南昌), 난닝(南宁), 쿤밍(昆明), 원저우(温州), 쯔보(淄博), 탕산(唐山) 등 7개 도시가 포함된다.
3선 도시는, 인구 300만~500만명의 경제가 어느 정도 발달되어 소비 수준이 비교적 안정된 곳으로, 2선 도시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지역이다. 우루무치(乌鲁木齐), 구이양(贵阳), 하이커우(海口)를 포함해 총 232개 정도다. 이외에 4선∙5선 도시가 있는데, 경제적, 지리적 규모와 인구 등에서 모두 3급 이하의 기타 도시를 순위별로 분류했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