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월스트리트에 K팝 ETF 등장...하이브·CJ·네이버 등에 투자

글로벌이코노믹

월스트리트에 K팝 ETF 등장...하이브·CJ·네이버 등에 투자



지난 4월 케이팝포플래닛 회원들이 서울 용산구 하이브(HYBE) 앞에서 '케이팝 앨범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는 대책 마련 촉구' 퍼포먼스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4월 케이팝포플래닛 회원들이 서울 용산구 하이브(HYBE) 앞에서 '케이팝 앨범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는 대책 마련 촉구' 퍼포먼스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K팝 붐이 마침내 월스트리트에 상륙했다.

CNBC는 1일(현지시간) K팝 음악 산업 상승세에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이날 거래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심볼명 KPOP

'K팝과 한국 엔터테인먼트 ETF'라는 이름의 이 ETF는 심볼명(티커) 'KPOP'으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거래가 시작됐다.

이 K팝 ETF는 한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엔터테인먼트 종목들의 지분을 보유해 K엔터테인먼트 업체들의 전세계 시장 영향력 확대의 과실을 함께 나누게 된다.

CNBC는 한국 남성그룹 방탄소년단(BTS)가 5월 미국을 방문해 백악관에서 공연을 하는 등 K엔터테인먼트의 영향력이 백악관까지 이미 도달했다고 소개했다.

KPOP 지수


K팝 ETF는 이 ETF를 만든 CT 인베스트먼츠가 고안한 이른바 'K팝 인덱스(지수)'를 기반으로 움직인다. 이 지수 움직임에 따라 투자 비중이 조정되는 것이다.

K팝 지수는 한국 엔터테인먼트 기업,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 업체 등으로 구성돼 있다.

CT 인베스트먼츠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해 K팝과 드라마, 영화를 비롯한 다른 인기 있는 K 엔터테인먼트와 가장 연관성이 깊은 기업들을 선별할 계획이다.

K엔터테인먼트 붐의 과실을 누릴 수 있는 한국 기업들을 ETF에 계속해서 포함시키기 위해서다.

하이브, JYP


CT 인베스트먼츠에 따르면 K팝 ETF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두 종목은 BTS 소속사인 바이브와 K엔터테인먼트를 주도하는 CJ ENM이다.

하이브는 포트폴리오 비중이 10.34%, CJ ENM은 10.05%를 차지하고 있다.

세번째로 비중이 높은 곳은 JYP 엔터테인먼트이다. 9.84% 비중을 차지한다.

CT 인베스트먼츠는 아울러 네이버와 카카오도 K팝 ETF에 포함시켰다.

네이버는 포트폴리오 비중이 9.73%, 카카오는 9.57%에 이른다.

K팝 ETF에는 또 걸그룹 블랙빙크가 소속된 YG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SM 엔터테인먼트 등이 포함돼 있다.

CT 인베스트먼츠는 포트폴리오 비중의 70~80%는 K팝과 K엔터테인먼트, 나머지 20~30%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오아 서비스 산업이 차지할 것이라면서 분기별로 비중이 재조정된다고 밝혔다.

출범 초기여서 규모는 작아


야심차게 ETF가 출범했지만 아직 규모는 미약하다.

총 투자규모가 약 7500만달러 수준에 그친다. 여기에서 나오는 과실을 ETF 투자자들이 쪼개어 받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자 열매가 기대에 크게 못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제 막 거래가 시작된 터라 주가 흐름을 추적할 수 있는 과거 흐름이 없다는 점도 투자 걸림돌이다.

올해 전세계 주식시장 흐름이 좋지 않은 것도 K팝 ETF에는 불리한 조건이다.

올해 주식시장이 급락세를 타면서 엔터테인먼트 종목들 상당수가 고전하고 있다.

K팝 ETF 역시 한동안 고전할 수 있다.

CNBC는 마지막으로 K팝 ETF가 투자하는 업체들이 한국 업체로 외국에 있기 때문에 환 위험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