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참여율 증가는 인력난, 임금 압박 해소에 도움돼

미국에서 핵심 노동 연령층인 25~54세 연령층의 노동 참여 비율은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팬데믹 당시에 여성과 함께 흑인, 히스패닉 등 소수 인종의 해고 비율이 백인에 비해 높았고, 노동 현장 복귀가 늦어졌으나 이들이 다시 일터로 돌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에서 25~54세 흑인의 노동 참여율은 81.8%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 연령층의 아시아계도 83.3%의 노동 참가율을 보였다. 노동 참가 비율 증가는 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되고, 가파른 임금 인상을 억누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금리 인상을 통해 노동 시장의 수요를 감소시키려 한다.
미국의 2월 노동 시장은 여전히 뜨거운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2월 비농업 일자리가 31만 1000 개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2만 5000 개를 뛰어넘은 수치이다. 2월 실업률은 3.6%로 54년 만의 최저치였던 전월 당시의 3.4%보다 0.2% 포인트 올라갔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2%, 전년 동월보다 4.6% 각각 올랐다. 전월 대비 임금 상승률은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