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5월 미국수입액 분석 결과…미중간 무역갈등에 무역구조 바뀌어
세계최대 수입국인 미국의 수입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비중이 15년만에 수위자리에서 밀려난 것으로 나타났다. 닛케이(日本經濟新聞)는 14일(현지시간) 올해 1~5월간 미국의 중국수입액이 25%나 감소해 멕시코와 캐나다의 수입액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전세계 경제의 40%를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은 정책주도에서 마찰이 빚어지면서 국제무역의 구조가 바뀌고 있다.
미국 상무부의 무역통계를 근거로 산출한 올해 1~5월 중국으로부터 수입액은 1690억 달러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3.4%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19년만의 최저수준이다. 일용품과 전기제품 등 폭넓은 품목에서 중국제품의 수입이 감소했다. 반도체 수입액은 반토막났다.
중국에 대체해 대미수출을 늘리고 있는 곳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이다. 1~5월은 사상 두번째인 1240억 달러에 달했으며 점유율은 10년전과 비교해 두배로 높아졌다.
미국의 중국수출액은 1~5월 620억 달러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이은 3위였지만 점유율은 7.5%로 양국의 절반수준이다.
현재로는 민간항공기 등의 수출이 둔화하고 있으며 9% 미만이었던 2020년을 정점으로 점유율은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2009년에 캐나다를 누르고 대미수출에서 1위자리에 올랐다. 그 전해인 2018년 리먼브러더스 쇼크에 동반한 경제악화에 고비용의 미국 제조업은 경쟁력을 잃고 저가격과 공급망 집약을 무기로 중국이 국제무역에서 지위를 높였다. 중국의 명목국내총생산(GDP)는 15년전의 3.8배, 수출총액은 2.5배로 확대됐다.
미국 수입에서 차지하는 중국 비중은 2015~2018년에 20% 전후까지 높아졌지만 2017년에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정부하에서 감소추세로 전환됐다. 미국 제조업의 부활을 내건 트럼프정부는 모두 37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수입품에 제재관세를 부고했다.
조 바이든 정부도 고관세를 지속해 경제안전보장을 이유로 첨단반도체와 통신기기관련에서 중국과의 단절에 나섰다.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와 배터리 등 4개품목을 중점분야로 규정해 공급망의 재구축을 지시했다.
기업들도 생산체제의 재검토에 착수했다. 미국 애플은 대만 등의 위탁생산업체에 생산거점을 중국에서 동남아와 인도로 옮기도록 재촉하고 있다. 미국 의류업체 갭은 멕시코로부터의 조달을 확대했다.
중국의존의 탈피는 소비자물가의 고공행진 등 미국으로서도 고통을 가져왔다. 하지만 중국리스크의 감소는 미국 연방의회에서도 초당파가 지지해 우방국에서 공급망을 완결하는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우방국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을 꾀한다는 미국의 공급망 전략) ’의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 통상대표부(USTR)의 캐서린 타이 대표는 “저가인 상품이 흘러들어와 우리경제를 나약하게 만들어 왔다”고 주장한다. 거액의 정부보조금에 지탱된 중국제품이 미국제조업을 쇠퇴시켰다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중국은 수출의 아세안 전환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측의 무역통계에 따르면 1~6월 수출액은 대미가 지난해 동기대비 17% 감소한 반면 대아시안은 2% 증가한 최대 수출처로 부상했다.
동남아시아에서 가공해 미국 등에 출하하는 ‘우회수출’이 늘어나고 있다라는 견해도 있다.
탈중국의 움직임이 미국 이외로 확대한다면 중국경제를 이끌어왔던 수출이 침체되고 생산성 향상과 내수강화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진다. 중국을 생산거점으로 세계시장에 수출하는 기업전략도 전환점을 맞고 있는 것이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