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컨트리가든, 1000억 달러 말레이시아 프로젝트 순항 중?

글로벌이코노믹

컨트리가든, 1000억 달러 말레이시아 프로젝트 순항 중?

중국 상하이 소재 컨트리가든 센터.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상하이 소재 컨트리가든 센터. 사진=로이터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빠진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컨트리가든이 1000억 달러(약 132조1600억 원) 규모 말레이시아 프로젝트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말레이시아 조호주정부와 손잡고 포레스트시티를 건설하는 컨트리가든은 이번 달에 달러 표시 채권의 이자 2250만 달러(약 297억3800만 원)를 지불하지 못한다고 발표해 중국 부동산 위기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컨트리가든은 부채 위기 속 재무 건전성에 대한 우려에도 충분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컨트리가든은 부유한 도시 국가인 싱가포르와 접해 있는 말레이시아 남부 조호르주의 간척지 섬 4개에 걸쳐 가장 큰 해외 개발 프로젝트인 포레스트시티를 건설하고 있다.

2016년 출범한 이 프로젝트는 중국의 자본 유출 억제 움직임과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수요가 급격히 감소해 현재 90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주거용 건물 외에 사무실, 쇼핑몰, 학교 등을 포함해 2035년까지 70만명을 수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컨트리가든은 성명에서 “말레이시아 프로젝트는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판매 실적이 양호해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이다”라며 “회사의 장기적인 미래 발전을 보장하기 위해 주기적인 유동성 압력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채무 관리 조치를 취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인 네가라은행(BNM)은 “현재 컨트리가든의 중국 사업 상황은 말레이시아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컨트리가든에 대한 위험은 제한적이다”라고 전했다.

안와르 이브라함 말레이시아 총리는 “포레스트시티는 투자를 유치하고, 그곳에서 사업하는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특별 금융 구역’으로 지정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25일 안와르 총리는 성명에서 포레스트시트를 위해 노동자에 대한 15%의 특별 소득세율과 다중 입국 비자 등 새로운 인센티브를 혜택을 공개했다.

애널리스트는 룽콕웬(Loong Kok Wen)은 “새로운 인센티브는 싱가포르 기업과 주민의 관심을 끌어 그동안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포레스트시티를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UOB케이하이안의 스티븐 렁 전무이사는 “말레이시아 당국의 인센티브 정책은 컨트리가든에게 매우 긍정적이다”라고 밝혔다.

컨트리가든은 “안와르 정부가 새로 발표한 인센티브는 포레스트시티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컨트리가든의 주장처럼 포레스트시티 프로젝트가 마냥 순항 중이라고만은 볼 수 없다.

내부적으로는 말레이시아인들은 대규모 포레스트시티 개발로 인한 주택 과잉 공급과 더불에 환경 파괴에 대해 반발하고 있고, 말레이시아 정부가 컨트리가든의 자금 압박을 대출로 해결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 정부가 인센티브 정책에 대출까지 몰아주며 포레스트시티 사업을 강행하고 있어 추후 또다른 디폴트를 양산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양지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vxqha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