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김정은·푸틴 '무기 거래' 타결 예상…대북 추가 제재 추진

글로벌이코노믹

美, 김정은·푸틴 '무기 거래' 타결 예상…대북 추가 제재 추진

국무부, 푸틴이 '왕따' 감정은에게 구걸한다고 혹평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9년 4월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KCNA이미지 확대보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9년 4월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KCNA

미국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회담에서 무기 거래가 타결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양측간 합의가 나오는 대로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 박 미국 국무부 부차관보는 11일(현지시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여러 종류의 탄약을 상당 규모로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부차관보는 “북러 정상회담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사용할 무기 거래를 매듭짓기 위한 대화의 최종 단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두 정상 간 합의에는 북한이 러시아 방위 산업에 사용될 원자재를 제공하는 방안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에서 러시아로의 어떤 무기 이전도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고, 우리는 북한에 새로운 제재를 부과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밀러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이) 국제적인 왕따(pariah, 김 위원장)에게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자국 영토를 가로질러 여행하는 것을 구걸(begging)이라고 규정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국은 북러 간 무기 거래가 이뤄지면 러시아와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하는 유엔 안보리 차원의 제재가 어려워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과 독자 제재를 할 것으로 보인다.

CSIS 산하 북한 전문 매체인 '분단을 넘어'는 이날 북한이 최근'신형 전술 핵잠수함'을 공개한 데 이어 다음 단계로 이 잠수함을 이용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북러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탄약을 제공하는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핵잠수함 기술을 이전받으면 기술 발전의 속도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이 매체는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에게 러시아의 SLBM 혹은 탄도미사일 발사 재래식 잠수함(SSB) 기술 이전을 요청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