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해상 풍력 1위 업체인 덴마크의 오스테드가 뉴욕시 인근에서 운영하는 사우스 포크 윈드도 5개의 터빈을 가동해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오스테드는 뉴욕시에서 약 56km가량 떨어진 해상에서 모두 12개의 풍력 터빈을 가동할 예정이다.
그러나 해상 풍력 발전은 최근 인플레이션에 따른 비용 상승으로 주요 프로젝트가 좌초하는 등 위기에 직면했다. 최근 덴마크 국영 에너지업체 오스테드(Orsted), 노르웨이 에퀴노르(Equinor), 영국 B.P 등은 뉴욕 인근 해상에서 추진하던 ‘엠파이어 윈드 2’ 프로젝트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지난달 미국 해상 풍력 사업 평가액을 50억 달러(약 6조 5000억원) 줄였다.
AP 통신은 바인야드 윈드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에서 처음으로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함에 따라 해상 풍력 발전이 미국에서 좌초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영국은 2030년까지 해상 풍력으로 각각 30기가와트(GW), 50GW의 전력을 생산하려는 목표를 제시했었다. 미 에너지부는 보고서 지난해 5월 말까지 총 17기가와트(GW)가 넘는 풍력 발전 공급 계약 27건이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상 풍력은 수주에서 완공까지 7∼8년이 걸리고, 사업비가 수조 원대에 달한다. 최근 급등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인건비와 철강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다. 게다가 고금리로 인해 자금 조달 비용도 늘어나 해상 풍력 발전 프로젝트가 좌초 위기를 맞았다.
스웨덴 전력 회사 바텐폴(Vattenfall)이 영국 북동부 해상에 건설하려던 세계 최대 규모의 풍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일단 중단됐다. 바텐폴은 지난 몇 분기 사이에 건설 비용이 40%가량 늘어나 모두 3단계로 구성된 일정 중에서 첫 단계 일정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덴마크의 오스테드는 영국에서 추진 중이던 ‘혼시 3’ 풍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영국 정부의 지원 부족을 이유로 전면 중단할 수 있다고 예고했었다.
조 바이든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보조금을 주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시행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의 관련 기업이 미국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미국 내무부 산하 해양에너지관리국(BOEM)은 2025년까지 최소 16개의 해상 풍력 발전소를 건설해 27GW 이상의 청정에너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미국 신용평가사 S&P글로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미국에 설치된 해상 풍력 설치 용량은 약 13GW다. 미국은 IRA에 따라 미국산 부품 비중이 20%를 넘으면 해상 풍력에도 세제 혜택을 준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