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현지시각) 로이터 등 외신들은 전날 중국 광저우에 도착한 옐런 장관이 이날 광저우 바이윤 국제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비즈니스 리더 원탁회의에에서 왕웨이중 광둥성 주지사, 허리펑 부총리 등 중국의 고위 관리들과 만나 미·중 경제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회담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옐런 장관을 비롯한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이 국내 수요 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자국 내 넘쳐나는 전기차와 태양광 패널, 반도체 및 기타 상품을 세계 시장으로 마구 밀어내는 것에 이미 여러 차례 우려의 뜻을 밝힌 바 있다.
특히 로이터는 옐런 장관이 이번 방중을 통해 중국의 과잉 생산·공급 기조가 미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은 물론, 중국 자신에게도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여기에는 중국의 산업 능력 문제가 포함돼 있으며, 미국과 다른 나라들은 이것이 글로벌 파급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미국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 조치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일부 무역 전문가들은 최근 미국이 생산 위주, 보조금 및 부채 중심인 중국의 경제 모델에 대해 비판을 늘리는 것을 두고,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의 준비 단계로 보고 있다.
미국 재무부 관계자는 로이터를 통해 “이번 회의 결과로 중국의 정책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는 기대하고 있지 않다”라며 “다만 해당 산업에 대한 과잉 투자와 공급이 전 세계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그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