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IMF, 올해 중국 성장률 5%로 상향 조정…1분기 성장세 호조, 하방 리스크 여전

공유
0

IMF, 올해 중국 성장률 5%로 상향 조정…1분기 성장세 호조, 하방 리스크 여전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국제통화기금(IMF) 본부 청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국제통화기금(IMF) 본부 청사. 사진=로이터
국제통화기금(IMF)은 29일(현지시각) 발표한 '중국 경제 연례 협의' 보고서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6%에서 5%로 0.4%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는 올해 1분기 중국 경제가 5.3%라는 예상을 뛰어넘는 '깜짝 성장'을 기록했고, 최근 중국 정부가 내놓은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 역시 4.1%에서 4.5%로 상향 조정됐다.
IMF는 1분기 성장률 호조의 주요 요인으로 억눌렸던 소비 수요가 코로나19 방역 완화 이후 폭발적으로 분출된 점을 꼽았다. 또한, 중국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 소비 촉진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면서 경제 회복세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IMF는 중국 경제의 중장기적인 성장 전망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인구 고령화와 생산성 둔화로 2029년에는 성장률이 3.3%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과 글로벌 경제 파편화 심화 등이 여전히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지방정부 부채 문제는 중국 경제의 가장 큰 뇌관으로 꼽히며, 이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금융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IMF는 중국 정부가 단기적으로는 내수 확대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방어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재정 건전성 강화와 구조 개혁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 안전망 강화를 통한 소비 중심 경제로의 전환, 서비스 산업 개방 확대, 혁신 주도 성장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IMF는 중국 정부가 특정 산업에 대한 과도한 지원 정책을 지양하고, 시장 경쟁 원리를 존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정책은 국내 자원 배분 왜곡과 무역 파트너들과의 마찰을 야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중국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