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WSJ “이제 ‘매그니피센트 4’가 美 증시 견인”…엔비디아는 '양날의 검'

공유
0

WSJ “이제 ‘매그니피센트 4’가 美 증시 견인”…엔비디아는 '양날의 검'

미국 증시를 견인하고 있는 핵심 주인 엔비디아가 오히려 전체 증시를 위협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로이터
미국 증시를 견인하고 있는 핵심 주인 엔비디아가 오히려 전체 증시를 위협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로이터
지난해부터 미국 증시를 견인해온 ‘매그니피센트 7(M7)’ 중 현재 실질적으로 미국 증시에서 활약 중인 곳은 4곳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달 들어서 뉴욕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M7 종목 중 단 4개 종목만이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의 나머지 부분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시장 가치를 추가했다고 보도했다.
살아남은 4개의 종목은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알파벳(구글의 모기업)뿐이다. 특히 이번 달 주가 상승분의 절반이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에서 나왔다고 WSJ는 강조했다.

WSJ는 2022년 오픈AI가 챗GPT를 전 세계에 공개한 이후 AI가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으며, 모든 기업이 첨단 반도체를 사려고 달려들면서 엔비디아가 가장 큰 승자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WSJ는 엔비디아가 전체 증시를 위협할 수도 있는 양날의 검이라고 지적했다.

WSJ는 그 첫 번째 이유로 AI 기술과 시장이 너무 과대평가돼 있어 앞으로 수요가 감소할 수 있는 점을 우려했다.

현재 AI와 대규모언어모델(LLM)이 할 수 있는 일은 일부 개발자를 지원하는 것 외에는 여전히 제한적이며, 실제 인간과 대면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라고 WSJ는 지적했다.

따라서 현재의 관심이 한계에 도달하면 오히려 수요가 감소하면서 엔비디아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AI 반도체의 경쟁 심화도 엔비디아의 불안 요소로 꼽힌다. 비록 엔비디아가 현재 AI 반도체 선도 주자로 군림한 상황이지만, MS나 알파벳, 메타 등 거대 빅테크 기업들과 수많은 스타트업, 인텔 등 전통적인 반도체 회사들이 AI 반도체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장기적으로 엔비디아 독점 구조가 무너지고 AI 반도체 가격이 하락할 수도 있다.

특히 엔비디아 AI 칩을 전량 생산하는 대만의 TSMC가 납품 가격을 인상하면 엔비디아에 부담이 될뿐더러, 대체할 만한 다른 제조사를 찾기도 어렵다고 WSJ는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WSJ는 AI 산업에서 승자독식 논리가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될 때도 문제라고 설명했다.

현재 AI 모델 개발자들은 크고 많은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AI와 언어모델을 많이 사용할수록 데이터도 많이 수집되어 모델이 더 개선될 수 있고, 이는 다시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경쟁에서 밀려난 AI 모델들과 개발사들이 시장에서 낙오하게 되면 향후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판매처도 그만큼 줄어들고, 이는 실적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WSJ는 우려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