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의 중진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과 마크 그린 하원 국토안보위원장, 존 물레나르 미 하원 중국 공산당 특별 위원회 위원장 등은 조 바이든 대통령 정부에 보낸 공동 서한에서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제품을 즉각 긴급 수입 금지 명단에 올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위구르 강제 노동 금지법’에 따른 수출 통제 리스트에 중국 배터리 업체를 올리라고 요구했다.
CATL과 고션은 미국 내 공장 설립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포드 자동차가 CATL과 합작으로 추진하던 미국 미시간주 자동차 배터리 공장 건립 사업을 지난해 9월 중단했다. 포드는 이 결정이 해당 사업 투자 중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2월 포드는 CATL과 손잡고 35억 달러를 투자해 미시간주 마셜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 기업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를 노리고, 미국에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려 한다는 정치권의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포드가 한발 물러섰다.
WSJ은 “현재 고션의 미시간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미국의 정밀 조사 대상에 올라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의 두 회사가 수출 통제 리스트에 오르면 미국 진출에 중대한 장애물이 생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중국 소수민족 강제노동에 관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 섬유업체 20곳 이상을 새롭게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이로써 이 법에 따른 수입 제한 대상 기업은 65곳으로 늘어났다. 2022년 6월 발효된 위구르족 강제노동 금지법은 위구르족 다수가 거주하는 중국 신장 상품과 신장산(産) 원자재가 포함된 상품 등의 수입을 원칙상 금지하는 법률이다.
신장산(産) 상품을 강제 노동의 산물로 전제하는 일응추정(rebuttable presumption·반박해 증명하지 않으면 사실이라고 전제) 원칙을 기반으로 하기에 강제 노동과 무관한 상품임을 ‘명백하고 설득력 있는’ 증거로 입증하지 못하는 한 신장 제품은 미국 시장에 진출할 수 없도록 했다. 완성품뿐 아니라 생산 과정에서 신장의 원료, 반제품, 노동력을 '부분적으로' 활용한 상품도 수입 제한 대상이다.
고션 하이테크가 10분 안에 80% 이상 충전할 수 있는 초고속 충전 배터리 기술을 공개하며 전기차 시장에 혁신을 예고했다. 고션 하이테크는 최근 연례 콘퍼런스에서 급속 충전 배터리 2종(G-Current, Stellary)과 새로운 고체 배터리(Gemstone) 기술을 선보였다. G-커런트(G-Current)는 9.8분 만에 80%, 15분 만에 90%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학 물질과 호환돼 전기차 와 하이브리드 차량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스텔러리(Stellary)는 9분 만에 10%에서 70%까지 충전되며, 5분 충전으로 350km, 10분 충전으로 600km 주행할 수 있다.
중국 최대 배터리 업체인 CATL은 테슬라를 비롯한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들과 제휴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쩡위친 CATL 회장은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을 짓는 대신에 테슬라 등 미국의 전기차 제조업체들에 기술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미국에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ATL은 현재 테슬라에 가장 많은 배터리를 공급하는 업체이다. 테슬라 모델 Y와 모델 3에 CATL 배터리가 장착돼 유럽 시장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올해 1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CATL이 LG에너지솔루션을 제치고, 점유율 1위에 올랐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월 중국을 뺀 세계 각국에서 판매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하이브리드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작년 1월에 비해 43.2% 증가한 319.4기가와트시(GWh)로 집계됐다.
CATL은 작년 1월과 비교해 28.5% 성장한 5.7GWh로 점유율 25.8%를 기록하면서 1위 자리를 지켰다. CATL은 테슬라, BMW,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자동차, 기아 등 글로벌 완성차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작년 1월에 비해 28.5% 증가한 5.4GWh의 사용량을 보였고, 점유율은 CATL에 1.4%포인트 뒤진 24.4%로 2위를 차지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