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장부터 꼬이는 AI PC, 소송·보안 이슈로 출시 전부터 ‘몸살’

공유
1

초장부터 꼬이는 AI PC, 소송·보안 이슈로 출시 전부터 ‘몸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코파일럿+ PC'란 이름으로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AI PC 전략이 정식 출시 전부터 각종 이슈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이미지 확대보기
마이크로소프트(MS)가 '코파일럿+ PC'란 이름으로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AI PC 전략이 정식 출시 전부터 각종 이슈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정체된 글로벌 PC(개인용 컴퓨터) 시장에 새로운 돌파구 및 신규 수요 창출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되는 ‘인공지능(AI) PC’가 출발부터 꼬이고 있다.

특히 최근 컴퓨텍스 2024에서 향후 인텔과 AMD 등 기존 PC 부문 강자를 제치고 AI PC 시장 점유율 50%를 차지한다는 목표를 내세운 영국의 반도체 설계사 ARM이 오히려 AI PC 시장 확대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업계의 눈총을 받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ARM은 최근 퀄컴과 진행 중인 칩 설계 라이선스 분쟁과 관련, 이르면 이달부터 출시 예정인 퀄컴 ‘스냅드래곤X’칩을 탑재한 AI PC 제품들의 전량 회수 및 폐기를 법원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냅드래곤X는 퀄컴이 지난 2021년 ARM 기반 CPU 설계 기업 누비아를 인수한 후, 관련 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PC용 프로세서다. MS는 퀄컴과 함께 최근 스냅드래곤X를 탑재한 AI PC를 ‘코파일럿 플러스(+) PC’라는 이름으로 대대적인 홍보를 했다. 이르면 이달부터 삼성전자를 비롯한 총 7개 PC 제조사에서 약 20여종의 코파일럿+ PC가 출시될 예정이다.

ARM은 퀄컴이 누비아의 기술을 이용해 PC용 프로세서를 개발하는 것은 라이선스 위반이라며 지난 2022년 퀄컴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누비아가 퀄컴에 인수되면서 기존에 보유하던 ARM 라이선스가 말소됐으며, 퀄컴이 누비아의 기술로 새로운 프로세서를 개발하려면 자신들과 새로운 기술 사용 라이선스를 맺어야 한다는 것이 ARM의 주장이다.

이에 퀄컴은 자신들이 이미 ARM 명령어 세트를 사용하는 광범위한 반도체 개발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는 만큼 누비아의 기술로 새로운 프로세서를 만들어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ARM의 이러한 움직임을 향후 떠오르는 AI PC 시장에서 자신들의 존재감을 높이는 동시에 추가 라이선스를 통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행보로 보고 있다. 이는 ARM이 핵심 아키텍처와 명령어 세트 같은 IP(지식재산권)를 제공하고 라이선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뿐, 직접 반도체를 제조하지 않는 회사이기 때문이다.

스냅드래곤X 기반 코파일럿+ PC를 준비해 온 주요 제조사들은 이번 소송전과 관계없이 이달 18일부터 순차적으로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다만, 향후 재판 과정에서 ARM의 요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이미 출시한 제품의 판매 중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소송에 대한 본격적인 재판은 오는 9월 미국 델라웨어 지방법원에서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AI PC의 발목을 잡는 또 하나의 이슈는 바로 ‘보안’ 문제다. 지난달 21일(이하 현지 시각) MS가 코파일럿+ PC를 공개한 지 하루 뒤인 22일 영국 정보위원회(ICO)는 코파일럿+ PC의 주요 기능인 ‘리콜(Recall)’ 기능의 보안 위협 우려에 대해 MS에 질의서를 보냈다고 밝혔다.

리콜 기능은 사용자가 PC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몇 초마다 스크린샷으로 촬영해 저장한 후, 이전에 했던 작업 내용이 금방 떠오르지 않을 때 AI가 저장한 스크린샷 중 관련 이미지를 찾아내 알려주는 기능이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 리콜 기능이 해킹될 경우, 개인정보는 물론 기업의 중요 기밀이 유출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논란이 커지면서 MS는 리콜 기능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암호화로 보호되는 기술이라며 보안 위협이 낮다고 반박했지만, 결국 정식 출시 때 리콜 기능을 제거하고 다음에 따로 선보이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다만, 발표 당시부터 차세대 AI PC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소개했던 리콜 기능이 제외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AI PC 수요를 활성화하려던 MS의 전략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