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본은행, 양적 긴축 시동…국채 시장 어떻게 바뀔까

공유
1

일본은행, 양적 긴축 시동…국채 시장 어떻게 바뀔까

7월 구체적 계획 발표…금리 인상 가능성도 열어둬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 사진=로이터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지난 14일(현지시간)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기 국채 매입 규모를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2013년부터 이어진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사실상 종료하고, 양적 긴축(QT)으로 전환하는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이다.

일본은행은 그동안 금융완화 수단으로 금융기관에서 국채를 매입해 왔다. 금융시장에 자금을 공급하고 채권 가격 상승을 통해 국채 수익률을 낮춰 금융완화 효과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은행의 국채 매입액은 2013년 구로다 하루히코 전 총재 시절 '이차원 완화' 정책을 시작한 이후 가속화됐다. 특히 2016년 9월 특정 금리 수준을 목표로 금리를 낮추는 '장단기 금리 조작(YCC)' 정책 도입으로 금리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국채 매입량이 더욱 늘어났다.

2013년 3월 94조 엔(약 829조 원)이었던 일본은행의 국채 보유 잔액은 2023년 말 581조 엔(약 5128조 원)으로 6배 증가했다. 발행된 국채 잔액에서 일본은행이 차지하는 비율(국고단기증권 제외, 시가 기준)은 10%에서 절반 이상으로 확대돼 일본은행은 국채 시장의 '최대 투자자'가 됐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국채 매입 감액은 상응하는 규모가 될 것"이라며 7월 30~31일 열리는 다음 회의에서 향후 1~2년간의 구체적인 축소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시장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분간은 현재와 같은 월 6조 엔(약 52조 원) 수준의 매입을 유지하기로 했다. 정책금리인 무담보 익일물 콜 금리 유도 목표도 0~0.1%로 동결했다.

우에다 총재는 국채 매입 감축 시점에 대해 "계획을 확정하는 대로 신속히 감액을 시작할 것"이라며 8월부터 가능성을 열어뒀다. 매입 규모가 줄면 만기가 돌아오는 국채 상환액이 더 많아져 일본은행의 국채 보유 잔액은 자연스럽게 감소하게 된다.

그는 감축 폭과 속도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면서도 "그냥 약간만 줄이지는 않을 것"이라며 "원하는 수준까지 1~2년 안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해 상당한 규모로, 시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진행할 것임을 시사했다.
일본은행은 시장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기관 관계자 등 시장 참가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신중하게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우에다 총재는 7월 회의에서 국채 매입 축소와 함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경제·물가 정세에 따라 단기금리를 인상해 완화 정도를 조정하는 것은 당연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3월 장기 금리를 억제하는 YCC(수익률곡선 통제) 정책을 폐지하며 2013년부터 이어진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의 막을 내렸다. 다만 금리 급등을 막기 위해 국채 매입은 '지금까지와 대략 같은 정도'로 유지해왔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