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엔비디아·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 데이터센터 투자 잇따라
17일(현지시각)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지난 몇 년 동안 구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로부터 수십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를 유치했다. 특히 싱가포르 국경 인근의 조호르바루 지역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면서 조호르바루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시장으로 떠올랐다.
제임스 머피(James Murphy) 데이터센터 인텔리전스 기업 DC바이트의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전무는 "몇 년 안에 조호르바루는 싱가포르를 제치고 동남아시아 최대 데이터센터 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DC바이트의 '2024년 글로벌 데이터센터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조호르바루에는 현재 1.6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가 건설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다. 데이터센터 용량은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전력량으로 측정된다.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 용량, 일본·인도 이어 아시아 3위 넘봐
계획된 모든 데이터센터가 완공되면 말레이시아의 데이터센터 용량은 일본과 인도에 이어 아시아 3위 규모로 올라설 전망이다. 현재는 일본과 싱가포르가 아시아 지역 데이터센터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말레이시아의 급성장세는 이러한 판도를 뒤흔들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데이터센터 투자는 전통적으로 일본, 싱가포르, 홍콩 등 기존 시장에 집중됐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말레이시아, 인도 등 신흥 시장에 대한 투자가 급증했다. 특히 AI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AI 모델 학습 및 배포에 필요한 막대한 데이터와 컴퓨팅 성능을 처리할 수 있는 전문 데이터센터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저렴한 에너지·토지 가격, 데이터센터 친화 정책 강점 부각
말레이시아는 저렴한 에너지 및 토지 가격, 데이터센터 친화적인 정책 등 다양한 강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는 냉각을 위해 많은 공간과 에너지, 물이 필요한데,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나 홍콩보다 에너지 및 토지 가격이 저렴해 비용 경쟁력이 높다.
또한 말레이시아 정부는 데이터센터 건설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전력 공급을 지원하는 등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2023년에는 '그린 레인 패스웨이(Green Lane Pathway)' 이니셔티브를 도입해 데이터센터 건설 리드 타임을 12개월로 단축하는 등 투자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싱가포르 데이터센터 건설 규제 강화, 말레이시아 투자 유입 촉진
싱가포르 정부가 2019년부터 에너지 및 물 소비 문제를 이유로 데이터센터 건설을 제한하면서 말레이시아로의 투자 유입이 더욱 가속화됐다. 싱가포르는 최근 데이터센터 용량 확대 계획을 발표했지만, 엄격한 친환경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등 여전히 제약이 많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싱가포르 대신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붐, 경제 활성화 기여하지만 에너지·물 부족 문제 우려도
데이터센터 건설 붐은 말레이시아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에너지 및 물 부족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케낭가 인베스트먼트 뱅크 리서치는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2035년까지 최대 5GW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말레이시아 전체 전력 용량의 약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조호르바루 시의회는 데이터센터 투자가 지역 자원 수요를 악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조호르주 정부는 데이터센터의 녹색 에너지 사용에 대한 추가 지침을 시행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과 함께 에너지 및 물 부족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