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주요국 중앙은행, 긴축정책 유지…인플레·경기 둔화 우려 속 '딜레마'

공유
0

주요국 중앙은행, 긴축정책 유지…인플레·경기 둔화 우려 속 '딜레마'

연준 등 대규모 완화 정책 철회…금리 인하 시기상조 판단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지난해 말 예고했던 대규모 금리 인하 정책을 철회하고 긴축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견조한 경제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통화정책 완화가 시기상조라는 판단에서다.

17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만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예상했던 3차례 금리 인하보다 크게 줄어든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섣부른 금리 인하는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확실히 잡힐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캐나다 중앙은행도 이달 초 금리를 인하했지만, 이는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던 당시 상황에 따른 결정이었다. 현재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추가 금리 인하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중앙은행(BOE)도 8월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목표치인 2%에 근접했지만, 핵심 서비스 부문의 물가 상승률이 높고 임금 상승률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요 중앙은행들이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시장 예상과 엇갈리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시장은 연준이 올해 4차례 금리를 인하하고, 영란은행은 5월부터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ECB의 금리 인하 시기도 3월로 예상됐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중앙은행들은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거나 인하 폭을 줄이고 있다. 이는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라는 두 가지 위험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져 있다. 금리를 인상하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지만,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금리를 인하하면 경기를 부양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

현재 중앙은행들은 금융 안정을 우선시하며 긴축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 인하 압력도 높아지고 있다. 중앙은행들은 앞으로 경제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