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동남아시아, 기업들 '차이나+1' 전략 최적지로 부상

공유
0

동남아시아, 기업들 '차이나+1' 전략 최적지로 부상

美 경제방송 CNBC "풍부한 자원 등 다양한 매력 갖췄다"

베트남 호치민 시 사이공 강에서 보이는 빈홈 센트럴 파크와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랜드마크 81. 사진=로이터
베트남 호치민 시 사이공 강에서 보이는 빈홈 센트럴 파크와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랜드마크 81. 사진=로이터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기업들이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 경제방송 CNBC는 23일(현지시각) 동남아시아는 풍부한 자원, 저렴한 노동력, 지리적 이점 등 다양한 매력을 갖추고 있어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One)' 전략의 최적지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이란?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은 중국 외에 다른 국가에도 생산 기지를 확보하여 공급망 위험을 분산하는 전략이다. 이는 미·중 갈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등으로 인해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동남아시아,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최적지


동남아시아는 풍부한 자원, 저렴한 노동력, 지리적 이점 등 다양한 매력을 갖추고 있어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특히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은 각국이 가진 강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베트남, 애플의 새로운 생산 기지


베트남은 애플의 주요 생산 기지 중 하나로 부상했다. 중국의 강력한 코로나19 봉쇄 조치와 폭스콘 공장의 노동자 불안 등으로 생산 차질을 겪은 애플은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과 인접해 있고 저렴한 노동력을 갖추고 있어 생산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 또한,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도 애플의 투자를 이끌어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말레이시아, 반도체 산업의 부활


말레이시아는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인피니언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며 반도체 산업의 부활을 이끌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숙련된 노동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운영 비용을 갖추고 있어 반도체 후공정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태양광, 전기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를 유치하며 산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전기차 배터리 생산 허브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핵심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전기차 배터리 생산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해 외국 기업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국 기업들도 인도네시아에 전기차 생산 기지를 설립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뿐만 아니라 전기차 생산 및 관련 산업 육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싱가포르, 아시아 지역 본부 설립의 중심지


싱가포르는 안정적인 정치·경제 환경, 우수한 인프라, 금융 및 규제 시스템 등을 바탕으로 아시아 지역 본부 설립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틱톡, 셰인 등 중국 기업들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지역 본부를 설립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글로벌 기업들이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과제와 전망


동남아시아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최적지로 떠오르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인프라 부족과 관료주의, 부패 등은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 간 경쟁 심화도 기업들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동남아시아는 젊고 풍부한 노동력,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 등 다양한 강점을 갖추고 있어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중심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인프라 개선, 제도 정비 등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동남아시아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핵심 지역으로 떠오를 것이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