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기술 대기업, 차세대 광 네트워크로 AI 전력 소비 줄이고 6G 전환 가속화

공유
0

글로벌 기술 대기업, 차세대 광 네트워크로 AI 전력 소비 줄이고 6G 전환 가속화

지난 2022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U 모바일 통신사의 5G 네트워크 광고가 게재돼 있다. 사진=로이터
지난 2022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U 모바일 통신사의 5G 네트워크 광고가 게재돼 있다. 사진=로이터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인텔, 소니 등 세계적인 기술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차세대 6G 모바일 인터넷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새로운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있다고 미국 경제방송 CNBC가 2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IOWN 글로벌 포럼'이라는 이니셔티브를 통해 2030년까지 '전광자' 네트워크(APN)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자 네트워크란?


IOWN 글로벌 포럼은 광 네트워크 기술 표준 개발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그룹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NTT, 에릭슨, 노키아, 인텔, SK하이닉스 등 수십 개의 주요 기술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광자 네트워크는 데이터 전달에 전기 자극 대신 빛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 세계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기술 산업에서는 전력 사용이 큰 문제로,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데이터 전송량이 급증하면서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광자 네트워크의 목표


광자 네트워크의 목표는 디지털 전환과 AI, 특히 생성 AI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현재 통신 네트워크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다. IOWN 글로벌 포럼 의장 카츠히코 카와조에는 "모바일 트래픽이 매일 증가하고 있으며, 무선 스펙트럼과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OWN 기술은 사업자가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의 스펙트럼 및 전력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주요 도시에서는 근무 시간에 더 많은 무선 장치가 필요하지만, 주거 지역에서는 저녁 시간에 더 많은 서비스가 필요하다. 에릭슨의 곤살로 카마릴로는 IOWN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의 특정 상황에서 전원을 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AI의 기후 영향 감소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은 엄청난 양의 훈련 데이터와 강력한 GPU를 필요로 하지만, 이는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NTT 코퍼레이션의 마사히사 카와시마는 광 네트워크가 소규모 데이터 센터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수요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카와시마는 "AI는 자동차, 제약 등 많은 산업에서 경쟁의 핵심이 되었으며, 많은 기업이 자체 GPU 인프라를 운영하는 데 관심이 있다"며 "IOWN APN을 사용하면 기업들은 더 작은 영역에서 공유 GPU 인프라를 사용하여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광자 네트워크의 활용 사례


IOWN 글로벌 포럼은 파트너들과 함께 광 네트워크에 대한 다양한 사용 사례를 모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은행은 서로 다른 사이트에 위치한 두 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데이터를 복제하여 인프라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미쓰비시 UFJ 은행은 금융 인프라에 IOWN 기술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또 다른 사용 사례는 방송 및 미디어 스트리밍이다. 소니는 NTT와 협력하여 방송국, 뉴스룸, 이벤트 홀을 위한 광역 원격 제작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을 늘리고 대기 시간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6G 전환 가속화


IOWN 기술은 5G를 넘어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인 6G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NTT의 카와시마는 광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통신 사업자가 6G 안테나 배치 비용을 줄이고 무선 타워를 공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IOWN 기술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지만, 광자 네트워크가 산업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몇 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IOWN 글로벌 포럼은 2030년까지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올해까지 이 기술의 실제 상업적 응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