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 IMF 부총재 "美, 연내 금리 인하 없을 수도"

공유
2

전 IMF 부총재 "美, 연내 금리 인하 없을 수도"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부총재를 지낸 앤 크루거 스탠퍼드대 석좌교수가 27일 오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부총재를 지낸 앤 크루거 스탠퍼드대 석좌교수가 27일 오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를 지낸 앤 크루거 스탠퍼드대 석좌교수는 2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제연구원 주최 특별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미국 금리 전망를 전망했다.

그는 "시장에서 미국이 연내 한 번 정도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듯하지만 올해 금리 인하가 없더라도 놀랄만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단기간 금리를 인상할 일은 없겠지만 금리 인하를 할지도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고 미국 노동시장도 아직 타이트하기 때문에 연준도 인하 결정에 있어서 유보적이라는 게 크루거 교수의 설명이다.

또한 크루거 교수는 미국에서 초과 수요가 남아 있는 상황이고, 대선을 앞두고 재정지출도 줄어들 것 같지 않다며 연내 금리 인하가 없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크루거 교수는 한국 기준금리 전망에 대해서는 "무역수지, 에너지 가격 등 미국과 한국이 서로 금리 결정을 하는 데 있어 보게 되는 지표는 다르겠지만 두 나라 공히 세계 경제 현황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만 답했다.

이어 원화 약세의 원인으로 중국과의 무역 불확실성을 꼽았다. 크루거 교수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관련해 '정책 오류'라고 평가하며 "보호무역주의의 결과가 좋을 수 있을지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했다.

미국의 경제정책 보호주의에 대해서는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크루거 교수는 "많은 사람이 보호주의를 지지하고 특히 중국에 대한 보호주의를 지지하는 상황이 되면서 정치적 문제가 됐다"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보조금을 주면서 자국 산업을 키우고 있는데 이에 대한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