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3대 지수 소폭 상승...나스닥 0.3%↑, 네이버웹툰 9.5% 폭등

공유
0

뉴욕증시, 3대 지수 소폭 상승...나스닥 0.3%↑, 네이버웹툰 9.5% 폭등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는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욕 주식 시장 3대 지수가 27일(현지시각)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초반 약세를 딛고 3대 지수가 전날에 이어 2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그러나 상승 폭은 크지는 않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기준으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발표를 하루 앞 두고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보였다.

나스닥 지수만 0.3% 올랐고, 다우존스 산업평균과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는 각각 0.09% 강보합 마감에 그쳤다.

다우 지수는 전일비 36.26포인트(0.09%) 오른 3만9164.06, S&P500 지수는 4.97포인트(0.09%) 상승한 5482.87로 강보합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53.53포인트(0.30%) 오른 1만7858.68로 장을 마쳤다.

'월가 공포지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약세를 이어갔다. 이날은 0.33포인트(2.63%) 하락한 12.22를 기록했다.
3대 지수가 이틀 연속 상승했지만 업종별로는 이날도 혼조세였다.

다만 전날 단 3개 업종이 오른 것에 비해 이날은 6개 업종이 상승해 오른 업종이 내린 업종보다 많았다.

소비재 업종은 흐름이 갈렸다.

임의소비재가 0.9% 올랐지만 필수소비재 업종은 0.5% 내렸다.

에너지와 유틸리티는 각각 0.25%, 0.14% 나란히 올랐다.

금융과 보건 업종은 각각 0.25%, 0.17% 하락한 반면 부동산 업종은 0.93% 상승했다.

산업 업종은 0.05% 강보합 마감했지만 소재 업종은 0.32% 하락했다.

기술주 양대 업종도 혼조세였다.

기술 업종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종목들이 고전한 탓에 0.06% 약보합 마감했다.

반면 통신서비스 업종은 0.77% 상승세로 장을 마쳤다.

마이크론은 전날 장 마감 뒤 깜짝 실적 발표와 낙관적인 분기 전망을 내놨지만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이 비공식적으로 기대한 실적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마이크론은 그 충격으로 10.13달러(7.12%) 폭락한 132.23달러로 추락했다.

유탄을 맞은 엔비디아는 2.41달러(1.91%) 하락한 123.99달러, 퀄컴은 2.18달러(1.10%) 내린 195.15달러로 마감했다.

중국 테무, 쉬인 등의 공세에 맞서 저가·직접 배송 방식을 도입하기로 한 아마존은 2.2% 뛰었다.

전날 창사 30년 만에 처음으로 시가총액 2조달러를 돌파한 아마존은 이날 상승세를 이어가 4.24달러(2.19%) 뛴 197.85달러로 올라섰다.

반면 아마존의 대응으로 경쟁 심화에 맞닥뜨리게 된 테무 모기업 PDD는 미국 증권예탁원 증서(ADR)가 6.29달러(4.55%) 급락한 131.94달러로 미끄러졌다.

이밖에 미 약국 체인 월그린스 부츠 앨라이언스는 미 약국 수천 곳을 폐쇄하기로 하면서 22% 폭락했다. 3.47달러(22.16%) 폭락한 12.19달러로 추락했다.

청바지로 유명한 레비스트라우스는 매출이 8% 가까이 늘기는 했지만 시장 전망을 소폭 밑돌면서 폭락했다. 리바이스는 3.56달러(15.40%) 폭락한 19.56달러로 곤두박질 쳤다.

한편 한국 네이버 산하의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이날 나스닥 거래소 첫 거래에서 공모가 대비 2.00달러(9.52%) 폭등한 23.00달러로 마감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