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 인플레 고통 가장 적은 계층은 의외로 저소득층?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미, 인플레 고통 가장 적은 계층은 의외로 저소득층?

미국 뉴욕 웨스트버리에 있는 월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 웨스트버리에 있는 월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이번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특이한 기록으로 남게 됐다.

대개 인플레이션으로 가장 고통받는 소득계층은 저소득층이지만 이번에는 이들의 고통이 다소 적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각) 새 연구에서 이런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왔다면서 그러나 이는 일시적 현상으로 수십 년에 걸쳐 확인된 흐름을 뒤집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인플레이션에서는 대개 식료품 가격이 다른 재화 가격보다 더 빨리 올라 소득 대비 식비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이 가장 큰 고통을 겪는다.

CPI의 함정


미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대표 지수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미 노동부 산하의 노동통계국(BLS)이 소비자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평균적인 미국인들의 월별 구매 물품 평균 가격을 기초로 CPI를 산출한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구매 물품이 제각각이라는 점 때문에 대부분 소비자들은 CPI와 다른 인플레이션을 체감한다.

예컨대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직장에서 먼 곳에 사는 부모들은 출퇴근 거리가 멀기 때문에 다른 어떤 것보다도 휘발유 가격 흐름이 물가 체감의 핵심 지표가 된다.

팬데믹 이후 달라져


가난한 사람들은 식비, 주택임대료 등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항목들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 고통을 가장 크게 느끼는 소득계층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지만, 25일 영국 런던경제대(LSE) 이코노미스트인 하비에르 하라벨이 발표한 연구보고서의 결론은 조금 다르다.

하라벨에 따르면 이런 가정은 대체로 맞지만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변화가 일어났다.

하라벨은 CPI에 사용되는 동일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각 소득계층별로 서로 다른 구매 물품 바스켓을 구축했다. BLS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소득계층별 상이한 바스켓으로 인해 결과가 달라졌다.

하라벨에 따르면 CPI가 14% 상승했던 2020년 5월~2022년 5월 소득 하위 10% 계층의 소비 물가는 13.5% 상승했다. 반면 소득 상위 6분위, 7분위 고소득층이 느끼는 물가는 같은 기간 14.8% 뛰었다.

교통비


이런 차이가 나타난 대표적인 요인은 교통비였다.

이 기간 휘발유 가격은 132% 폭등했고, 신차·중고차 가격은 30% 올랐다.

소득 하위 계층은 대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동차와 휘발유 가격 상승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같은 저소득층이더라도 시골에 살고 출퇴근 또는 통학 거리가 멀면서 대중교통도 마땅치 않은 이들은 훨씬 더 큰 인플레이션 고통을 겪었다.

특히 이런 경우 여윳돈도 없어 고소득층에 비해 교통비 상승 고통은 훨씬 컸다.

그러나 2022년 이후 상황은 달라졌다.

휘발유 가격이 하락했고, 찻값도 소폭 떨어졌다.

그 결과 이제 저소득층에 인플레이션 고통이 집중되고 있다.

그렇지만 2020년 5월 이후 올 5월까지 4년 동안을 뭉뚱그려 보면 여전히 저소득층은 중산층보다 낮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하고 있다.

저소득층 지원, 세분화해야


하라벨의 연구는 저소득층에 대한 정책 지원이 어떤 식으로 이뤄져야 하는지도 암시하고 있다.

어떤 재화의 가격이 더 많이 오르는지에 따라 소득계층별로 감당할 인플레이션 충격이 다르기 때문에 경제적 완충장치가 거의 없는 저소득층에 타격을 크게 줄 재화 가격을 통제하거나 지원금을 지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소득층 지원에는 임대료·전기료 등 비교적 덩치가 큰 요금을 정부가 통제하거나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