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동부 항만 파업 사태의 본질, ‘자동화’에 대한 상반된 시각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2

[초점] 美 동부 항만 파업 사태의 본질, ‘자동화’에 대한 상반된 시각

미국 뉴저지주의 뉴어크항.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저지주의 뉴어크항. 사진=로이터
미국 동부 지역 항만 노동자들이 1일(이하 현지시각)부터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하면서 미국 경제계는 물론 전 세계 경제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이번 파업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파업은 종래의 항만 파업과는 성격이 다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무 자동화를 바라보는 노사의 상반된 시각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라는 것.

항만을 관리하는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항만 노동자들이 벌이는 파업에 더 이상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업무 자동화를 꾸준히 추진해온 반면에 노동자들은 업무 자동화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 항만 업무 자동화를 바라보는 노사의 상반된 시각


미국 유력지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항만 파업 위기의 이면과 업무 혁신에 대한 상반된 시각’이라는 제목으로 낸 29일(이하 현지시각) 분석 기사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NYT는 “항만 노동자들은 사용자 측이 인건비를 포함한 경비 절감 차원에서 업무 자동화에 매달려 왔다는 주장인데 역사적으로 보면 이는 사실에 부합한다”면서 “그러나 항만에서 이뤄지는 작업이 워낙 위험한데다 작업 속도도 매우 느린 문제를 안고 있어 그동안 사용자들이 자동화에 주력해온 것도 사실”이라고 전제했다.

다만 항만 노동자들 입장에서는 자동화를 통해 항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면서 파업 외에는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할 수 있는 방법이 별로 없는 상황이 된 것이 오늘의 현실이라는 것.

그간의 업무 효율화로 항만에서 화물을 선적하고 하역하는 작업 자체가 상당 수준 자동화된 현실에서 선적이나 하역 과정을 지체시키는 방법 외에는 사용자에 대한 교섭력을 발휘할 수단이 사실상 없어졌다는 얘기다.

NYT는 “실제로 미국 동부 지역 항만 노조들을 대변하는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와 이들 지역 항만 운영사들 사이의 단체협상이 접점을 찾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항만 업무 자동화의 속도를 둘러싼 이견”이라고 전했다.

노조 측은 업무 자동화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사용자 측이 이를 핑계로 인력 감축 카드를 쉽게 꺼내 든다는 주장이다.

◇ 전문가들 “항만 업무 자동화 불가피한 추세”


미 노동부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는 사실로 뒷받침된다.

최근 4반세기 동안 미국 항만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규모는 4만 명 수준에서 6만여 명 규모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러나 미서부항만노조(ILWU)에 따르면 미국 서부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을 비롯한 일부 항만에서 업무 자동화에 힘을 쏟은 결과 이들 항만에서는 고용 인력의 약 5%가 감축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런 추세가 미국 전역의 항만으로 확산되면 일자리가 크게 위협받는 상황에 몰릴 수밖에 없다는 노동자들의 시각과 우려가 동부 지역 파업의 이면에 깔려 있다는 것.

그럼에도 현대화된 사회에서 항만 작업의 자동화를 추구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일 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화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라고 NYT는 지적했다.

다만, 업무 자동화의 흐름을 누가 주도하고 얼마나 빠르게 진행하느냐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는 것. 업무 자동화의 결과로 사람이 처리하는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가장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인 기존 항만 노동자들의 재교육과 재취업을 위한 제도가 얼마나 제대로 마련돼 있느냐도 문제라는 것.

파업까지 불사하겠다는 동부 항만 노동자들이 요구하고 있는 것도 무조건 자동화에 반대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일자리로 갈아탈 수 있는 재교육과 재취업의 기회를 충분히 부여해 달라고 주장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NYT는 전했다.

아울러 항만 노동자들은 업무 자동화 덕분에 항만 운영사들의 영업 이익도 크게 늘어났다면서 노동자들에 대한 처우도 그에 비례해 개선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