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항만 노조, 50% 임금 인상안 거부 파업…박빙 대선 판도 영향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3

美 항만 노조, 50% 임금 인상안 거부 파업…박빙 대선 판도 영향 불가피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항구에서 동해안 전역에 걸쳐 해운항 파업이 발효된 후 부두 노동자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항구에서 동해안 전역에 걸쳐 해운항 파업이 발효된 후 부두 노동자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항만노조가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사측이 제시한 6년에 걸친 50% 임금 인상안을 거부했다.
억대 연봉을 받고 있지만 노조는 77%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박빙의 미 대선도 항만 파업의 영향을 크게 받을 전망이다.
박빙의 대선 승부를 펼치고 있는 민주당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의 도널 트럼프 전 대통령이 눈치 보기에 들어갔다.

77% 인상해라


1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야후파이낸스 등에 따르면 미 항만노조인국제 롱쇼어맨 협회(ILA) 위원장 해럴드 대것은 사측이 제시한 임금 인상안을 거부했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압력으로 당초 제시했던 40% 인상 대신 6년에 걸쳐 50% 임금 인상을 비롯해 여러 복지 혜택을 사측이 제안했지만 대것 위원장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ILA가 약 4만5000 조합원들의 기본 시급을 6년에 걸쳐 39달러에서 69달러로 77% 인상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항만 노조원들은 업무 특성 상 잔업 등이 많아 이미 고액의 임금을 받고 있다.

2020 회계연도 뉴욕과 뉴저지 항만 노동자 3726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연간 15만 달러(약 1억9800만 원) 넘게 받았다.

같은 해 연봉이 25만 달러(약 3억3000만 원)가 넘는 항만 노동자 비중은 약 20%에 이르렀다.

임금 인상안이 타협에 이르더라도 항만 파업을 멈추려면 넘어야 할 산이 또 있다.

노조는 선주들이 원하는 항만 자동화에 반대하고 있다. 일자리가 사라질 것을 우려해 반대하고 있다.

정치적 해법만 있어


바이든 행정부는 1일 파업을 끝내기 위해 노사 협상을 압박했다.

아울러 공급망 차질과 취약점을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가 취할 수 있는 대응이 실상은 별로 없다는 점이 우려를 낳고 있다.

스티펠의 운송 물류 담당 애널리스트 브루스 챈은 1일 야후파이낸스와 인터뷰에서 이 문제는 정치적으로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챈 애널리스트는 항만 파업이 2주 안팎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보다 짧아질지 또는 길어질지는 거의 전적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개입 의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개입이냐 관망이냐


전문가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취할 수 있는 선택지가 단 2개라고 보고 있다.

노사가 협상 하는 것을 지켜만 볼 것인지, 아니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파업을 조기에 끝내도록 할 것인지 양자택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냥 지켜만 보는 것은 미 경제에 심각한 상처를 남길 수 있다.

대선이 불과 한달 여 남은 가운데 이는 민주당에 상당한 악재다.

며칠 안에 파업이 끝나면 신선식품 등 보관이 어려운 소비재들이 썩는 것에서 그치겠지만 파업이 수 주일을 지속하면 원료 공급 부족으로 미 공장들의 가동이 멈출 수 있다.

이를 피하려면 정부가 개입해 노조에 강제 업무 복귀 명령을 내려야 한다. 하지만 이 역시 정치적으로 상당한 부담을 안아야 한다.

이미 노조는 정부에 개입하지 말라고 경고한 바 있다.

미 대통령은 노동쟁의에 정부가 개입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태프트-하틀리법에 따라 80일 간의 ‘냉각기’를 갖도록 노사 양측에 강제하고 노조에는 업무 복귀를 명령할 수 있다.

그러나 백악관은 거듭해서 태프리-하틀리 법 발동은 고려 사항이 아니라고 강조해왔다.

백악관은 1일에도 “공급망에 미칠 잠재적 충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충격을 완화할 방법들을 찾고 있다”고만 밝혔다.

대선 고비


9월 30일 자정에 시작된 항만 노조 파업은 오는 11월 5일 미 대선에 드리운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조지아부터 미시간 주에 이르기까지 경합주 표심을 특히 크게 흔들 가능성이 높다.

플렉스포트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라이언 피터슨은 야후 파이낸스에 “파업이 수일 넘게 또는 1주일 넘게 지속되면 심각한 파장이 불가피하다”면서 전 세계 컨테이너 선박 15%가 발이 묶인다고 우려했다.

이번 항만 파업은 매사추세츠주 보스턴부터 시작해 뉴욕과 뉴저지 항, 필라델피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조지아, 플로리다, 앨라배마, 루이지애나, 텍사스 주에 이르기까지 미 동부와 남부 연안에 걸쳐 이뤄지고 있다.

동부부터 남부까지 해상 물류가 중단된다는 뜻이다.

이는 올 대선 승패를 가를 승부처인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등 동부와 걸프 연안 경합 주 유권자들이 경제에 대해 불안해하고 집권당에 불리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마냥 유리한 것만도 아니다.

이번 대선 승리를 위해 노동계층 유권자들을 적극적으로 끌어안으려 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항만 파업에 정부 개입을 촉구하면 노조의 반발을 부를 수 있다.

여러 파급 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미시간 주처럼 자동차 산업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부품 공급 부족으로 자동차 생산이 중단되면 유권자들의 불만이 높아진다.

바이든, 결국 개입할 수밖에 없어


항만 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대통령이 결국 이번 항만 파업에 개입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미 경제 파국을 막기 위해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브래들리 손더스는 분석 노트에서 “비록 바이든 대통령이 이전에 이를 거부하기는 했지만 선거가 이만치 가까워진 상태라 결국에는 쟁의에 개입해 노조에 업무 복귀 명령을 내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1947년 제정된 태프트-하틀리법을 발동해 80일 ‘냉각 기간’을 가지면서 업무를 지속하도록 해 노사 협상이 대선 이후에 재개되도록 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