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기준금리 내리는데 모기지 금리는 안 떨어져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美, 기준금리 내리는데 모기지 금리는 안 떨어져

미국 버지니아주 맥클린에 있는 모기지 대출 기관인 프레디 맥의 본사. 사진=로이터
미국 버지니아주 맥클린에 있는 모기지 대출 기관인 프레디 맥의 본사. 사진=로이터
미국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4일(현지시각) 폭등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달 18일 예상을 넘는 0.5%포인트 금리 인하, 이른바 빅컷을 단행하면서 모기지 금리도 함께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좀체 떨어지지 않던 모기지 금리가 4일 폭등했다.
미 노동시장, 나아가 경제가 예상보다 탄탄하다는 분석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로 이어지면서 모기지 금리가 요지부동을 넘어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0.27%포인트 폭등


모기지 뉴스 데일리(MND)에 따르면 가장 일반적인 모기지인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이날 무려 0.27%포인트 폭등해 6.53%로 치솟았다.

연준이 빅컷을 단행하기 하루 전인 지난달 17일 기록한 6.11%에 비해 0.42%포인트 높은 금리다.

연준의 0.5%포인트 금리 인하, 빅컷에도 불구하고 모기지 금리가 크게 떨어지지 않은 것은 모기지 금리가 다른 금융상품들처럼 10년 만기 미 국채수익률 흐름을 따르기 때문이다.

다만 10년물 수익률은 연준 기준 금리 흐름에 주로 좌우된다는 점에서 모기지 금리 역시 연준 금리 향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탄탄한 고용


이날 모기지 금리를 끌어올린 핵심 동력은 노동시장이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미 신규 취업자수는 2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1만7000명 상향조정돼 15만9000명으로 늘어난 8월 신규 취업자 수를 압도하는 규모였다.

시장에서 예상했던 15만명에 비하면 10만4000명이 더 많았다.

실업률도 4.2%에서 4.1%로 떨어졌고, 임금은 전월비 0.4%, 전년동월비 4% 상승했다.

시장에서는 4.2% 실업률과 전월비 0.3%, 전년동월비 3.8% 임금 상승률을 예상한 바 있다.

추가 빅컷 없다


미국의 탄탄한 고용 동향으로 볼 때 미 경제가 우려했던 것과 달리 탄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는 낙관이 급속히 높아졌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11월 빅컷 전망이 아예 사라졌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투자자들은 11월 6~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일반적인 금리 인하 폭인 0.25%포인트 인하를 결정할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판단하기 시작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지금보다 0.25%포인트 낮은 4.50~4.75%로 낮출 가능성이 95.7%에 이르는 것으로 예상을 수정했다.

1주일 전 46.7%이던 확률은 10월 30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추가 빅컷은 없을 것”이라는 발언 뒤 오르기 시작했지만 전날에도 67.9%에 머물렀다.

반면 연준이 0.5%포인트 낮춰 4.25~4.50%로 떨어뜨릴 것이란 예상은 아예 사라졌다. 하루 전만 해도 32.1%였고, 파월 의장 발언 전인 1주일 전에는 53.3%에 이르던 확률이 이날은 ‘0%’를 기록했다.

대신 1주일전, 또 하루 전만 해도 없었던 4.50~5.00% 동결 전망이 등장했다. 4.3%로 확률이 낮기는 하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지는 않다는 판단으로 돌아섰다.

시장 변동성이 핵심


그렇지만 연준 금리 인하 전망이 모기지 금리를 좌우하는 직접 변수는 아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따르면 미 양대 주택금융사 가운데 한 곳인 패니메이의 마크 팰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모기지 금리를 좌우하는 것은 연준이 0.25%포인트 인하에 나설지, 아니면 0.5%포인트 내릴지가 아니라 이런 금리 인하에 국채 수익률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채권 투자자들이 어떤 해석을 하는지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불확실성이 높아지면 국채 수익률이 오르는시장 특성을 감안할 때 앞으로 미 경제지표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면 그것이 상승이건 하락이건 간에 모기지 금리를 낮추는 데는 도움이 안 될 것으로 보인다.

변동성이 높아지면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위험한 모기지 채권보다 국채에 몰리면서 모기지 금리가 오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