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이 시기에 외국의 공격이나 불안정을 초래할 시도를 막기 위해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초박빙 판세 속에서 결과에 대한 승복이 이뤄지지않고 투·개표 시스템에 문제가 제기되면, 러시아 등의 적대국이 허위영상 유포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이 틈을 파고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 국방부 한 고위 관계자는 특히 미국 내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현재의 상황이 외부의 적들이 미국의 정치 시스템을 약화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더욱 심각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행정부의 이 같은 사전 대응 조치는 이런 위협 가능성을 낮출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민주적 과정과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익명을 요청한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국방부는 대선일부터 대통령 취임일인 내년 1월 20일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동맹 국가들과의 협의를 통해 비상사태에 대응할 계획을 점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은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과 중국의 군사력 강화 대응, 북한과 이란 같은 불량 국가들의 불안정한 행동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어 대통령직 인수 기간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미 국가정보국장실의 고위 당국자는 최근 “러시아 등의 적대국가들이 대선뿐만 아니라 상·하원 선거에서도 근소한 차이의 결과를 기대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라며 “선거 이후에도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외국 세력들은 선거 및 선거 과정의 신뢰를 약화시키려는 전략을 사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 국가정보위원회(NIC)도 최근 기밀 해제한 보고서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미 대선일 이후 물리적 폭력에 대한 위협을 증폭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최근 미 정보당국은 대선을 앞두고 러시아의 전략과 관련해 이례적으로 브리핑을 진행하고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폴 나카소네 전 미 국가안보국(NSA) 국장은 “러시아는 선거의 합법성에 대한 의문을 촉발시키는 정보 작전에서 전문성을 키워왔다”며 “이들은 혼란을 일으키는 데 매우 능숙하다”고 말했다.
또한, 미 대선 결과 발표가 지연될 경우 새 대통령의 국가안보 담당 고위직 지명이 늦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대 안보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고현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escatori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