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타랠리 기대감 속에서도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경계심이 주가 발목을 잡았다.
월스트리트 이코노미스트들은 노동부가 11일 공개할 11월 CPI가 전월비 0.2%, 전년동월비 2.6% 상승해 10월과 같은 흐름을 보였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한편에서 이를 웃도는 오름세를 기록했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편 M7 종목들이 혼조세를 기록한 가운데 엔비디아와 테슬라 주가 흐름은 이날도 엇갈렸다.
지난주까지 연일 사상 최고 행진을 하던 뉴욕 주식 시장 3대 지수는 이번 주 들어 이틀을 내리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전일비 154.10포인트(0.35%) 하락한 4만4247.83으로 미끄러졌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는 17.94포인트(0.30%) 내린 6034.91, 나스닥 지수는 49.45포인트(0.25%) 밀린 1만9687.24로 마감했다.
‘월가 공포지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0.03포인트(0.21%) 오른 14.22를 기록하며 전날 폭등세가 진정됐다.
업종별로는 알파벳이 속한 통신서비스 업종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통신서비스 업종은 2.61% 급등했다. 반면 엔비디아가 급락한 여파로 기술 업종은 1.26% 하락했다.
테슬라가 포진한 임의소비재는 0.14% 올랐고, 필수소비재 업종도 0.5% 상승했다.
에너지와 유틸리티 업종은 각각 0.62%, 0.82% 하락했다.
금융은 0.11%, 보건 업종은 0.46% 내렸고, 부동산 업종은 1.63% 미끄러졌다.
산업과 기술 업종도 각각 0.22%, 0.93% 내렸다.
이날 M7 종목들도 흐름이 엇갈렸다. 4개 종목은 오르고, 3개 종목은 내렸다.
알파벳이 5.6%, 테슬라가 2.9% 급등했고, 애플과 메타플랫폼스는 각각 0.4%, 0.9% 상승했다.
반면 엔비디아가 2.7% 급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은 각각 0.6%, 0.5% 하락했다.
알파벳은 전날 발표한 양자 컴퓨터 기술 돌파구가 뒤늦게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규제 완화 기대감 등이 더해진 덕에 9.80달러(5.59%) 급등한 185.17달러로 올라섰다.
테슬라는 내년에 저가 전기차인 이른바 모델Q가 출시되고, 규제 완화 속에 자율주행 부문이 도약할 것이란 기대가 더해져 400달러를 돌파했다. 테슬라는 11.20달러(2.87%) 급등한 400.99달러로 장을 마쳤다.
애플도 1.02달러(0.41%) 오른 247.77달러, 메타는 5.75달러(0.94%) 상승한 619.32달러로 마감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중국의 반독점 조사 여파로 이틀째 급락했다. 이날은 3.74달러(2.69%) 급락한 135.07달러로 미끄러졌다.
소프트웨어 업체로 인공지능(AI) 테마주 가운데 하나인 오라클은 기대 이하 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바람에 6.7% 폭락했다. 오라클은 12.71달러(6.67%) 폭락한 177.74달러로 추락했다.
AI 서버 업체 슈퍼마이크로 컴퓨터(SMCI)는 폭락세로 돌아섰다. 3.62달러(8.20%) 폭락한 40.54달러로 주저앉았다. SMCI는 급등락이 반복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업체 몽고DB는 59.23달러(16.92%) 폭락한 290.90달러로 떨어졌다.
보잉은 베스트셀러인 737맥스 생산을 재개했다는 소식에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은 7.06달러(4.50%) 급등한 164.10달러로 마감했다.
AI 스타트업 C3.ai는예상보다 적은 분기 손실을 기록한 덕에 장중 주가가 7% 넘게 폭등했지만 이후 상승폭 대부분을 반납했다. C3.ai는 0.05달러(0.12%) 오른 41.73달러로 강보합 마감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