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보호무역 정책, 글로벌 공급망 불안, 고공행진 중인 서비스 물가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11월 기준 미국의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8%,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3% 상승해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이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것ㅇ로 미국 경제의 구조적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루제티는 “주거비용 역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문제”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는 지난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 중국산 제품에 대한 60% 관세 인상, 이민 제한 정책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같은 정책들은 단기적으로 물가를 급등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경제 구조 자체를 불안정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는 것이 미국 월가 안팎의 경제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시각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트럼프의 폭탄급 관세 정책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것”이라면서 “이는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로 이어져 악순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미국이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다른 국가들도 보복 관세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로 인해 글로벌 경제가 둔화되고 경기 침체 속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프랑스계 글로벌 금융그룹 BNP파리바 역시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2025년 하반기부터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BNP파리바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025년 말께 2.9%, 2026년 말께 3.9%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미 연준의 목표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다만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2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면서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고 그 영향이 나타날 때까지 신중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이다.
그러나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보복 관세로 인해 무역 전쟁이 다시 시작된다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욱 장기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야후파이낸스가 주요 경제학자 58명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대부분은 2025년 핵심 PCE 물가지수가 2.5% 수준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2026년에는 2.4%로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