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프로젝트의 총 건설 면적은 188,000㎡로, 연구개발(R&D), 관리, 시연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토지 사용 기간은 30년이며, 사무실 공간은 DJI와 자회사만 사용할 수 있다.
중국의 저고도 경제 규모는 2023년 기준 5000억 위안(약 85조 원)을 넘어섰으며, 2030년까지 2조 위안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선전은 지난 2월 중국 최초로 드론 관련 규제를 도입했으며, 향후 2년간 120억 위안을 투자해 드론 배송과 비행택시 등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다만 DJI는 미국의 제재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 국방부가 2022년 중국 군민융합 전략 지원을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올린 것. DJI는 지난 10월 이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며 "잘못된 지정으로 상당한 재정적 피해를 입었다"고 반발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DJI의 새 본사 건설이 글로벌 드론 시장 주도권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라며 "특히 미국의 제재 속에서 드론 기술 자립과 신시장 개척을 위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한편 선전시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드론 수도'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DJI를 앵커 기업으로 한 117헥타르 규모의 슈퍼 본사 기지는 중국 드론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DJI의 드론산업 거점 구축 전략이 한국 드론산업에 주는 시사점이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특히 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 자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 드론산업 연구원은 "DJI가 R&D센터를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처럼, 한국도 드론 클러스터 조성이 시급하다"며 "판교·상암 등 주요 도시에 드론 특화단지를 조성해 기업들의 시너지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규제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한 정책연구소 관계자는 "선전이 드론 규제를 선제적으로 정비한 것처럼, 한국도 드론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기술 자립화도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한 항공우주연구원 전문가는 "미국의 제재 속에서도 DJI가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것처럼, 한국도 핵심 기술 확보가 필수"라며 "특히 배터리, 제어시스템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드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전략적 지원과 함께 기업들의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