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티베트 구리 매장 발견의 파장..."한국 자원 확보 전략 재검토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중국 티베트 구리 매장 발견의 파장..."한국 자원 확보 전략 재검토 필요“

전문가들 "전기차·신재생에너지 급성장으로 자원 확보 경쟁 심화할 것"

중국 산둥성 옌타이의 구리 제련소에서 직원들이 일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산둥성 옌타이의 구리 제련소에서 직원들이 일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의 티베트 대규모 구리 매장량 발견이 글로벌 자원 시장에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세계 최대 구리 소비국인 중국이 자체 공급망을 확보하게 되면서 국제 구리 시장의 판도가 크게 변화할 전망이라고 7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세계 구리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이미 절대적이다. 2023년 전 세계 정제 구리 소비량 2701만 톤 중 절반 이상을 중국이 소비했으며, 2025년에는 그 비중이 55%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전력, 가전제품, 운송, 건설업 등 4대 업종이 중국 구리 소비의 80%에 육박한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구리 자급률 향상이 글로벌 시장에 미칠 영향에 주목한다. 한국투자증권의 한 연구원은 "중국이 자체 공급망을 확보하면 국제 구리 가격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특히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과 같은 구리 수입 의존국의 조달 비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대응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한다.
첫째, 해외 자원 개발과 전략적 비축을 강화해야 한다. 대한광업진흥공사 관계자는 "현재 한국의 구리 자주개발률은 10% 미만"이라며 "최소한 30%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안정적 공급망 확보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둘째, 자원 탐사 및 개발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는 "중국이 자체 기술로 대규모 매장량을 발견한 것처럼, 한국도 탐사 기술 고도화가 필요하다"며 "특히 심해저 광물 탐사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셋째, 구리 대체 소재 개발과 재활용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알루미늄 등 대체 소재 개발과 함께, 도시광산 활성화로 재활용률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조만간 '핵심광물 확보 로드맵' 발표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주요 내용으로는 ▲해외 광산 지분 투자 확대 ▲비축물량 단계적 확대 ▲민간 자원개발 지원 강화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중국의 구리 자원 확보는 글로벌 자원 시장의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은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자원 안보 강화와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