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말레이·태국 등 정부채 발행 잇따라...공공부문 주도로 시장 신뢰 구축
동남아시아 주요국들이 녹색채권 시장 육성에 나서고 있다. 반다나 하리 반다 인사이츠 설립자는 "동남아 국가들이 최근 성공적인 공공부문 채권 발행을 통해 시장의 전환점을 맞이했다"며 "이를 토대로 민간부문 참여를 확대해야 할 시점"이라고 분석했다고 10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싱가포르는 2022년 50년 만기 녹색채권을 발행해 24억 싱가포르 달러(17.6억 달러)를 조달했다.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의 녹색채권 원칙과 아세안 녹색채권 기준에 따른 프레임워크를 도입해 시장의 신뢰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인도네시아는 2024년 5월 일본 자본시장에서 207억 엔(1.31억 달러) 규모의 '블루본드'를 발행했다. 이는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최초의 공개 발행 국채다. 채권 수익금은 해안 보호,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해양 생물다양성 보존 등에 사용된다.
말레이시아는 2021년 녹색금융과 이슬람 금융을 결합한 '지속가능성 수쿠크'를 통해 13억 달러를 조달했다. 6.4배의 초과 청약을 기록하며 시장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태국도 2024년 11월 아시아개발은행(ADB) 지원으로 300억 바트(8.65억 달러) 규모의 지속가능성 연계 국채를 발행했다.
전문가들은 이제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민간부문의 참여를 확대하는 것이 과제라고 지적한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발행 비용 완화, 재정적 인센티브 확대, 다자간 기구와의 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한다.
베트남과 필리핀 등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은 국가들도 국채 발행이나 정부기관의 참여를 통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선도국들은 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도시 인프라, 저탄소 교통시스템, 해안 보호 등 다양한 분야의 녹색·블루 채권 발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가능할 전망이다.
동남아의 녹색채권 시장 육성 사례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금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채권을 발행해 시장의 신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 참여를 확대하는 전략은 한국에도 적용할 만하다.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녹색채권 프레임워크 구축도 주목할 만하다. 한국도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국제 표준을 준수하는 체계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위해서는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장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
또한, 중소기업의 시장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 발행 비용 완화,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제공, 다자간 개발은행과의 협력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분야의 민간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