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긴급진단] 미국 PPI 물가 "일시적 현상" 뉴욕증시 비트코인 "CPI 폭탄"

글로벌이코노믹

[긴급진단] 미국 PPI 물가 "일시적 현상" 뉴욕증시 비트코인 "CPI 폭탄"

뉴욕증시/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사진=로이터
미국 PPI 생산자 물가가 "예상밖 3.3%"로 다소 안정되었지만 이는 원자재 가격하락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뉴욕증시 비트코인 등 금융시장에서는 "CPI 물가는 예상보다 높은 폭탄"수준으로 오르고 있다고 보고 있다.

뉴욕증시 냇얼라이언스증권의 앤드류브레너 전략가는 "PPI 수치는 예상보다 훨씬 좋았지만, 이는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데 따른 일회성 이유가 배경인 것 같다"며 "그런 흐름은 12월 중순 이후부터 이미 반전됐다"고 지적했다. 12월 PPI 지수가 예상보다 낮았지만 일시적 현상일 뿐 이미 다시 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PPI물가 상승률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4%)를 밑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3.3%였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월 대비 0.1%로 역시 전망치(0.3%)를 밑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3% 상승했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

미국의 작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결과를 두고 월가 전문가들은 예상치를 밑돈 게 고무적이었다면서도 일회성이라거나 기대 인플레이션에 변화를 주기에는 부족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사비타 수브라마니안 미국 주식 및 퀀트 전략 총괄은 "우리는 불분명한 영역에 있는 거 같다"며 "이코노미스트들은 기본적으로 여전히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까지 실제 인플레이션 측정치가 내려오지 못했다는 의견"이라고 말했다.
블리클리파이낸셜그룹의 피터부크바 최고투자책임자(CIO)는 "PPI의 헤드라인과 근원 수치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음에도 기대 인플레이션(BEI)은 변화가 없었고 명목 채권금리는 처음에 하락했으나 직후 보합까지 돌아왔다"며 "이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PPI보다 시장에 훨씬 더 중요하거나 시장이 연간 상승률에 더 집중하고 있고 그것이 여전히 2%를 웃돌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