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2.0] 바이든의 인도-태평양 전략, 트럼프 집권 후 큰 변화 예고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2.0] 바이든의 인도-태평양 전략, 트럼프 집권 후 큰 변화 예고

동맹 중심 대중 견제 정책, '일대일 협상' 선호하는 트럼프 당선에 전환점 맞을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3년 11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있다. 시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3년 11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있다. 시진=로이터
바이든 행정부가 공들여 구축해온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 네트워크가 트럼프 차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동맹국들과의 다자간 협력보다는 중국과의 직접 협상을 선호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18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 이후 인도-태평양을 미국 외교의 핵심 축으로 설정하고, 중국 견제를 위한 동맹 네트워크 강화에 주력해왔다. 미라 랩-후퍼 NSC 동아시아·오세아니아 담당 선임국장에 따르면, 인도-태평양 담당 팀은 NSC 내 최대 규모로 성장했으며, 최대 25명의 인력이 배치되어 중동 담당팀을 추월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일본·인도·호주 4개국 협의체인 쿼드(Quad)를 정상급 협의체로 격상시켰으며, 호주·영국·미국 3국 안보 협력체인 오커스(AUKUS)를 출범시켰다. 여기에 일본, 한국, 호주, 필리핀 등과의 3자 협력 체제도 다양하게 구축했다.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최근 "파트너십 네트워크 강화가 억지력을 강화했고, 지역의 힘의 균형을 바꾸어 놓았다"며 "현재 이 지역에서 미국의 입지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인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내정된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은 이란 원유 구매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국들과의 다자간 협력보다 중국과의 직접적인 거래를 선호할 수 있다는 전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아시아 그룹의 크리스토퍼 존스톤 대표는 "바이든 행정부는 냉전 종식 이후 가장 친동맹 성향의 팀이었다"며 "오커스, 쿼드, 캠프 데이비드 합의, 필리핀과의 새로운 관계 등이 모두 바이든의 업적"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중국은 쿼드와 오커스를 자국을 겨냥한 봉쇄 전략으로 인식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해 11월 바이든과의 정상회담에서 "주요 국가 간 경쟁이 현 시대의 지배적 추세가 되어선 안 된다"며 "지구는 두 나라가 모두 성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일본과 한국 등 동맹국들이 트럼프 시대에 대비해 자신들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이를 '거래'로 포장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전 USTR 대표 마이클 프로먼은 "트럼프는 미국의 글로벌 안보 부담이 과도하다고 보고 있어, 동맹국들의 국방비 증액 약속이나 미국이 직면한 문제 해결에 대한 협력이 중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CFR의 도시 책임자는 "대만 문제와 같은 되돌릴 수 없는 양보를 이란 석유 거래와 같은 전술적 양보와 교환해서는 안 된다"며 "중국과의 G2 구도를 추구한다는 인식을 준다면 동맹국들과의 관계가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공들여 구축한 인도-태평양 전략의 미래는 트럼프의 외교 스타일과 중국과의 관계 설정에 따라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특히 동맹국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의 직접 거래를 통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희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