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케이아시아는 22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5가지 정책에 대해 주목했다.
전기차
트럼프는 취임 연설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내연기관 모델보다 배터리 구동 자동차 판매를 장려하기 위해 제정된 규정을 언급하며 전기 자동차 의무를 철회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전기차가 전체 신차 판매의 50%를 점유하도록 하는 규정이 철회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컨설팅 업체 아서디리틀 매니징 파트너 스즈키 히로토는 “중국과 유럽은 계속해서 전기차 발전을 추진할 것이지만, 미국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함께 변화의 속도가 느릴 것”이라며 일본 브랜드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유럽과 중국 브랜드는 전기차 개발을 계속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편관세 인상은 일단 보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2월 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른 나라를 부유하게 하기 위해 우리 국민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대신, 우리 국민을 부유하게 하기 위해 외국에 관세를 부과하고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두 나라에 공장과 공급업체가 있는 마쓰다나 혼다, 기아 같은 아시아 브랜드를 포함한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적지 않은 타격이 될 전망이다.
도쿄 와세다 대학 나카바야시 미에코 교수는 “중국에 대한 관세는 미국에 많은 피해를 줄 것이며, 트럼프는 미국 경제 침체를 가장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나마 운하
트럼프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핵심 수로인 파나마 운하를 다시 장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미국은 1914년 개통된 운하를 건설하고 수십 년 동안 운하를 통제해 왔지만, 1977년 지미 카터 당시 대통령이 파나마와 체결한 조약으로 1999년 파나마가 운하를 통제하게 된 상태다.
트럼프는 "우리는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이 어리석은 선물로 인해 매우 나쁜 대우를 받았다. 또 파나마는 우리에게 한 약속을 어겼다"라며 미국 선박이 통과하는 데 심각한 바가지 요금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가 파나마 운하 통제를 언급한 이유는 중국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이 파나마 운하 운영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닛케이아시아는 "트럼프는 즉 태평양의 발보아와 대서양의 크리스토발 항구를 관리하는 파나마 항만 회사(Panama Ports Company)가 중국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라며 "이 회사는 허치슨 포트 홀딩스의 자회사로, 홍콩의 재벌 리카싱 일가가 소유한 두 개의 대표 대기업 중 하나인 CK 허치슨 홀딩스와 CK 에셋 홀딩스에 속해 있다. CK 에셋 홀딩스와 함께 홍콩의 대표적인 재벌이다"라고 전했다.
다만 걸림돌은 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운하는 파나마의 소유이며 앞으로도 파나마의 영구 중립을 위해 파나마 정부가 계속 통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리기후협약 탈퇴와 에너지 비상사태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이 지구 온난화를 제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기후변화협약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즉각적으로 파리협정을 탈퇴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협정 탈퇴는 이번이 두 번째다.
또 미국 화석 연료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미국의 에너지를 전 세계로 수출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트럼프는 “우리는 다시 부유한 국가가 될 것이며, 이를 위해 발밑에 있는 금으로 된 액체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다만 미국의 탈퇴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탈탄소화 추진은 막을 수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이미 미국이 선도적인 석유 공급 국가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확대 생산이 얼마나 많은 수요를 충족시킬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는 지적이다.
외교
트럼프의 외교 정책은 아직까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는 취임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묘사하며 김정은 위원장과 “아주 잘 지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미국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미국의 입장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미국이 국제 안보를 위해 덴마크가 통제하는 자치령인 그린란드가 필요하다고 말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어 향후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