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메타 팩트체크 중단, 아시아서 가짜뉴스·혐오 표현 급증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메타 팩트체크 중단, 아시아서 가짜뉴스·혐오 표현 급증 우려

트럼프 정부 '표현의 자유' 강화 정책에 동조...인권단체들 "제2의 로힝야 사태 우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메타의 팩트체크 프로그램 종료 결정이 아시아 전역에서 허위정보와 혐오 표현 확산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특히 과거 소셜미디어를 통한 폭력 사태를 겪은 미얀마와 인도 등에서 심각한 사회적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고 최근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검열 금지 행정명령과 맥을 같이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1월 20일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정부의 불법적이고 위헌적인 노력을 즉각 중단하겠다"며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필터가 실수와 검열을 일으킨다"며 팩트체크 축소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팩트체커를 없애고 X(구 트위터)와 유사한 커뮤니티 노트로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인권단체들은 이러한 변화가 아시아 지역에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이자 래플러의 CEO인 마리아 레사는 "32억 명이 넘는 사용자를 가진 플랫폼이 안전보다 이윤을 우선시하기로 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소셜미디어가 과거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폭력 사태의 도화선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2017년 미얀마에서는 페이스북을 통해 확산한 혐오 표현이 로힝야족 탄압으로 이어져 최소 1만 명이 사망하고 6000 명의 여성이 피해를 보았다.

인도에서는 왓츠앱이 허위정보 확산의 주요 경로가 되어 폭동과 린치 사태를 촉발했다. 5억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한 왓츠앱은 종단간 암호화와 다양한 언어 사용으로 인해 내용 검증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필리핀에서도 2016~2022년 두테르테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페이스북이 정치적 허위정보와 혐오 표현의 온상이 됐다. 독립 팩트체크 기관인 VERA Files는 페이스북의 허위정보가 "압도적으로 정치적"이라고 분석했다.

메타는 테일러 롭-맥코드 아태지역 정책커뮤니케이션 매니저를 통해 "현재로서는 미국 외 국가에 대한 변경사항이 없다"며 "미얀마의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한 인권 실사를 실시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국제앰네스티는 "미국 내 독립적 팩트체크 폐지가 국제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로힝야족 사태와 같은 끔찍한 인권 침해가 재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AFP의 파브리스 프리스 회장도 "대규모 허위정보가 난무하는 시기에 팩트체크를 중단하는 것은 대형 화재 시 소방서를 무너뜨리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이 중국, 베트남 등 언론 통제 국가들에 검열 강화의 구실을 제공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메타의 감독위원회가 2022년 "영어 외 언어 콘텐츠 검증에 충분한 자원을 투자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만큼, 아시아 지역의 콘텐츠 관리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