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부터 시행되는 이번 조치는 캐나다 및 멕시코산 제품에는 25%, 중국산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가 적용되는 것이 골자다.
3일 미국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특히 미국 전기자전거 업계는 대다수의 제품과 부품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시장 가격 상승과 소비자 부담 증가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미국의 전기자전거 시장은 최근 수년간 급속도로 성장했다. 대중교통 및 자동차의 대안으로 자리 잡으며 환경 친화적인 이동 수단으로 각광받았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전기자전거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중국의 공장에서 제품을 조립하거나 부품을 수입해 미국에서 조립하는 형태로 사업을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관세 부과로 제조업체들은 원가 상승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일렉트렉은 “이번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는 중국에서 전기자전거를 수입하는 미국 업체들이 직접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그 결과 소비자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미국 전기자전거 업계는 이번 추가 관세 부과에 대비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고, 또 다른 기업들은 원가 절감을 위한 공급망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전기자전거 제조업체들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대만,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전기자전거 제조업의 특성상 기존 공장을 이전하거나 새로운 공장을 세우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단기간에 중국산 제품을 대체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미국의 한 전기자전거 제조업체 관계자는 일렉트렉과 인터뷰에서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해왔지만 여전히 중국산 부품에 대한 의존도는 높은 실정”이라며 “이번 관세 부과가 가격 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각 주정부는 최근 몇 년간 친환경 교통수단을 장려하기 위해 전기자전거 구매 보조금 및 세제 혜택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이번 관세 부과로 전기자전거 가격이 오를 경우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시장 성장 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의 전기자전거 시장은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성장해 왔다. 전기자전거 전문 연구기관 e바이크 러버스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미국에서 판매된 전기자전거는 약 130만대에 달했고, 지난해는 15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미국 전기자전거 업계는 관세 부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이윤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또 다른 업체들은 정부에 관세 면제를 신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렉트렉은 “관세 면제 신청은 가능하지만 승인 과정이 까다롭고 확실한 보장도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전기자전거 업계는 앞으로 몇 달 동안 큰 불확실성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라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