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트럼프發 미국 풍력발전 제동에 국산화율 70% 상향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트럼프發 미국 풍력발전 제동에 국산화율 70% 상향

美 기업 투자 전환 기대...해상풍력 공급망 현지화 가속
2040년까지 설비용량 45GW 목표..."발전단가 절반으로 낮출 것"
풍력 터빈이 도쿄의 전신주 뒤에서 보인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풍력 터빈이 도쿄의 전신주 뒤에서 보인다. 사진=로이터
일본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풍력발전 제한 정책을 기회로 삼아 해상풍력 발전 단지의 국내 조달 목표를 현행 60%에서 2040년까지 70%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처로 일본이 부상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조치라고 4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트럼프는 최근 풍력 발전 단지를 위한 연방 토지 임대를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GE 버노바, 베스타스, 시멘스 가메사 등 서구 기업들이 새로운 투자처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일본 정부는 이를 자국 내 풍력발전 산업 육성의 전환점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이달 말부터 전문가 패널을 구성해 구체적인 조달 목표와 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며, 올여름까지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조달 목표는 해상풍력 발전 총 투자액 중 국내 생산 부품과 일본 기업 참여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현재 일본은 자국 내 풍력터빈 제조업체가 전무한 상황이다. 서구 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도 일본 내 나셀, 터빈 블레이드 등의 생산시설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 일본 기업들은 주로 설치와 운영 분야에 한정돼 있다.
지난 1월 홋카이도 앞바다에서 가동을 시작한 해상풍력단지가 처음으로 60%의 국내 조달 기준을 달성했다. 도쿄 소재 그린파워인베스트먼트가 개발한 이 프로젝트는 향후 일본 해상풍력 산업의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70%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해외 공급업체들의 일본 내 공장 설립과 함께 일본 기업들의 부품·소재 공급능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단일 나셀에만 1만 개 이상의 부품이 필요한 만큼, 광범위한 공급망 구축이 요구된다.

일본은 2030년까지 10기가와트(GW), 2040년까지 30~45GW의 해상풍력 설비용량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고정식 해상풍력의 발전단가는 킬로와트시(kWh)당 30.9엔으로 육상풍력(16.3엔)의 두 배에 달하지만, 2040년까지 14엔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정부는 2040 회계연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40~50%로 확대하고, 이 중 풍력발전이 4~8%를 차지하도록 한다는 목표다. 이는 2023 회계연도 재생에너지 비중 22.9%에서 큰 폭의 증가를 의미한다.

전문가 패널은 또한 일본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 심해용 부유식 풍력터빈 플랫폼 개발 목표도 설정할 예정이다. 일본 연안 대부분이 심해이기 때문에 부유식 풍력발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