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트럼프가 팔 걷은 ‘미국 국부펀드’ 설립…재원과 운영 방식은?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트럼프가 팔 걷은 ‘미국 국부펀드’ 설립…재원과 운영 방식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도 국부펀드가 필요하다며 설립 계획을 공언하고 나서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5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는 전날 미국 국부펀드 설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미 재무부와 상무부에 90일 내에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정부 자금으로 운영되는 국부펀드 설립에는 의회의 승인이 필요해 향후 논의가 주목된다고 NYT는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말 대통령선거 유세 이후부터 "다른 나라들은 국부펀드가 있지만 미국은 아무것도 없다"며 정부 주도의 투자 기구 창설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미 연방정부가 보유한 자산은 총 5조3000억 달러(약 7661조 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9222억 달러(약 1333조 원)는 정부 운영을 위한 현금이고 국방부 보유 재고가 4230억 달러(약 611조 원), 교육부 및 중소기업청 등의 대출 자산이 1조7000억 달러(약 2457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현재 연방정부는 지속적인 재정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국부펀드에 활용할 구체적인 재원 마련 방안이 불투명한 상태라고 NYT는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명시하지 않았지만 정부가 보유한 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미 연방정부는 전체 국토의 약 30%에 해당하는 토지를 소유하고 있고 천연자원, 에너지 인프라 등 다양한 형태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 국유 자산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국부펀드를 조성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계획에 따라 국부펀드 설립을 주도할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90일 이내에 투자 기구 창설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보고해야 한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1년 안에 국부펀드를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정부가 민간 기업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20억회분을 구매하면서 기업 지분이나 워런트를 확보했다면 어땠겠느냐"며 국부펀드가 투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국부펀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이 운영되고 있으며 총 운용 자산은 10조 달러(약 1경4455조 원)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부펀드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공공투자펀드(PIF)와 노르웨이 국부펀드(NBIM)가 있다. PIF는 약 9250억 달러(약 1337조 원)의 자산을 운용하며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에 400억 달러를 투자해 위워크 등 글로벌 기술 스타트업에도 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반면,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안정적인 채권과 주식에 분산 투자하는 보수적인 전략을 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부펀드는 규모가 크지만 결국 우리는 이를 따라잡을 것"이라며 미국 국부펀드 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