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백악관 크립토 차르 기자회견 암호화폐 강타 왜?

글로벌이코노믹

백악관 크립토 차르 기자회견 암호화폐 강타 왜?

비트코인/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비트코인/사진=뉴시스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비트코인 준비금 전략은 이러한 국가 부채 위기에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정부가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Strategic Bitcoin Reserve) 도입을 검토하는 이유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 외에도 글로벌 경제 불안 속에서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비트코인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는 달러 약세와 국채 수익률 하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추가적인 금융 안정성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비트코인 준비금이 본격 도입될 경우, 미국은 일부 재정 압박을 완화하고 외화 보유 전략을 다변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미국의 재정 구조가 디지털 자산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안전자산으로 비춰질 수 있다. 이는 국채 시장의 수요를 일부 보완하고, 향후 금리 상승 압박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높은 변동성은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불안 요소가 될 수 있어, 재정 운용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백악관 크립토 차르 기자회견이 뉴욕증시에서 암호화폐를 강타해 주목을 끌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중점 육성에[ 초점을 맞춘 차르의 발언이 혹시 스테이블코인만 준비자산으로 포함하고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이어디룸등은 아예 제외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혹을 낳고 있다. 미국 상원의 루미스 의원은 리플등읒 빼고 비트코인만으로 준비자산을 비축하는 법안을 발의한 상태이다.

가상자산(암호화폐) 업계의 큰 관심을 끈 데이비스 삭스 미국 백악관 가상자산 차르(Czar)의 기자회견이 실망감을 남긴채 끝났다. 비트코인에 대한 언급 없이 규제와 스테이블코인 관련 내용만 강조했기 때문이다. 가상자산 차르는 미 행정부의 가상자산 정책 총괄 권한을 가진 총책임자다. 국 워싱턴 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삭스 가상자산 차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는 가상자산 산업의 책임감 있는 성장 지원과 명확한 규제 체계 마련"이라며 "스테이블코인 법안의 마련 및 통과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암호 가상화폐 차르 삭스/.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백악관 암호 가상화폐 차르 삭스/.사진=로이터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의 국제적 지배력을 보장하고 디지털 달러의 사용을 촉진할 것"이라며 "국채에 대한 수조달러 규모의 수요도 창출해 장기 금리를 낮추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트코인 관련 정책 언급은 전혀 없었다. 비트코인 준비금 진행 사항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는 "논의는 초기 단계"라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국부펀드 편입 가능성에 대해서도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에게 묻는 것이 좋겠다"고 즉답을 회피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팀 스콧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프렌치 힐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장, 존 보즈먼 상원 농업위원회 위원장, G.T. 톰슨 하원 농업위원회 위원장도 참석했다. 이들은 "민주당과 공화당이 협력해 마련한 초당적 법안 '미국 스테이블코인 혁신 가이드라인 법(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GENIUS)'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 100일 이내 법안 통과를 위해 공격적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명확한 비트코인 관련 정책 방향성이 나오지 않으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10만달러대를 유지하던 비트코인은 기자회견 발표 도중 낙폭을 키우며 9만원대로 내려앉았다. 가상자산 업계는 이번 기자회견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코인데스크는 "이번 발표 내용은 X 게시물 세 개로 요약할 수 있을 정도다. 굳이 한 시간을 할애한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라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실망스러운 기자회견"이라고 평가했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도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내용은 긍정적이다. 다만 이는 예전부터 논의된 사안으로 특별한 뉴스가 아니다"라며 "비트코인의 가격 움직임만 봐도 시장의 실망감을 확인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