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이더리움 백악관 크립토 차르 "암호화폐 전략자산 비축 무기 연기"
![트럼프 상호관세 폭탄 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강타/사진=로이터](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09201331048714a01bf698f218145175167.jpg)
10일 뉴욕증시와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도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번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는 유럽연합(EU)을 포함한 특정 국가들에 대한 보복성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트럼프가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관세를 발표한 후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했다 무려 20억 달러 이상의 청산이 발생했다. 비트코인, 엑스알피(XRP), 도지코인(Dogecoin), 솔라나(Solana) 등 주요 암호화폐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상호 관세’ 발표 가능성이 다시 한번 약세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코인게이프는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 정책이 시장에 미칠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연준은 긴축 기조(quantitative tightening)를 유지하고 있으며,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다만, 최근 발표된 미국 고용 지표가 둔화 조짐을 보이며, 이는 연준의 정책 변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곧 달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도 중요한 변수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될 경우 연준이 보다 완화적인 정책을 고려할 가능성이 커지며,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반대로 물가 상슬률이 더 높아지면 암호 가상화폐에 충격파가 올 수 있다.
이런 가운데 XRP 커뮤니티 내에서 스위프트(SWIFT, 국제은행간통신협정)와 XRP의 통합 가능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스위프트 공인 서비스 기관인 이스트넷스(EastNets)의 페이먼트세이프(PaymentSafe) 플랫폼이 리플(Ripple)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됐다. 이스트넷스는 글로벌 금융 기관들이 SWIFT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제3자 서비스 제공업체로, 액센추어(Accenture) 및 ACI 월드와이드(ACI Worldwide)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기업들은 금융 기관이 SWIFT의 ISO 20022 표준 메시징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국제 결제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스트넷스가 리플 기술을 활용한다는 내용이 담긴 동영상이 공개되면서 XRP 커뮤니티 내에서는 XRP가 스위프트 네트워크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법률 전문가 프레드 리스폴리(Fred Rispoli)는 엑스알피(XRP)가 미국 전략적 준비 자산(US Strategic Reserve)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최소 5달러까지 상승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상대강도지수(RSI)는 37로 강한 모멘텀을 나타내고 있다. 리플(Ripple)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암호화폐 자문위원회에 합류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XRP의 시장 입지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다만, XRP가 미국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5달러를 넘어야 한다는 점에서, 향후 가격 움직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전쟁을 시작한 데 이어 이번 주 불특정 다수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를 예고했다. 시점은 10~11일로 예정돼 있다. 보편 관세에 이어 상호 관세까지 거론한 트럼프가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 키우면서 글로벌 무역 체제에 다시 한번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뒤 상호 관세 관련 발표가 10일이나 11일 회의 후 이뤄질 것이라고 특정하면서 “아마도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앞서 회담 전에도 취재진이 “상호 교역(reciprocal trade)에 대한 행정명령에 오늘 서명할 것이냐”라고 묻자 “상호 교역에 대해 다음 주에 발표할 것이다. 그래서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동등하게 대우하도록 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더 많이도 더 적게도 바라지 않는다”며 상호 관세를 시사했다.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세금을 매기겠다는 의미다.
![암호화폐 리플 CEO 갈링하우스/사진=로이터](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09201425015934a01bf698f218145175167.jpg)
트럼프는 이미 중국산 상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25%의 보편 관세를 예고한 뒤 한 달간 유예한 상태다. 보편 관세와 추가 관세에 이어 상호 관세까지 꺼내든 셈이다. 트럼프는 상호 관세 대상 국가와 품목에 대해 따로 명시하진 않았다. 현재 미국 관세율은 상품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승용차는 2.5% 수준으로 낮은 반면, 의류나 신발들은 관세가 높다. 이에 따라 트럼프식 ‘상호 관세’ 방식이 적용되면 수천 개의 개별 품목마다 관세율이 다양해질 수 있다. 트럼프는 동안 구리, 철강, 반도체 등 다양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가 그동안 관세를 미국의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언급해온 만큼, 미국에 무역 흑자를 내고 있는 국가들이 상호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유럽연합(EU)이 1차 표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는 그동안 EU가 미국산 자동차에 대해 미국이 유럽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것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해 무역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고 비난한 바 있다.
한국도 지난해 557억 달러의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과 미국은 현재 자유무역협정(FTA)으로 99% 이상의 관세가 철폐돼 사실상 무관세 국가지만, 트럼프가 무역 흑자를 근거로 관세를 휘두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CNN은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추진한다면 영향을 받는 국가들은 일련의 보복 관세를 발동할 수 있다”며 “이는 무역 전쟁을 촉발할 수 있고, 결국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의 발언이 이전 보편 관세 발언보다 다소 완화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폴리티코는 “수입품에 일률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이전의 위협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과거에 10~20%의 보편 관세를 언급했지만, 이번엔 ‘더 많지도 적지도 않은’ 상호 관세를 언급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지난 7일 중국에서 수입되는 소액 상품에 대해서도 면세조치를 일단 유지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그동안의 강경한 관세 정책에서 다소 물러선 것이다. 미국은 ‘최소 기준 면제(de minimis)’ 정책에 따라 개인이 사용하기 위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의 제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 트럼프가 재임 1기 관세 정책 성공 사례로 한국산 세탁기를 거론하고 있지만, 일자리 창출 못지않게 소비자들의 부담이 크게 늘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행정 서명을 쏟아내고 있는데 기존 무역 협정을 검토하고 4월까지 고칠 필요가 있는 부분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상호 호혜적 수준이 될 수 있게끔 뜯어고치겠다는 의도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역시 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 트럼프 2기 출범과 동시에 불확실성이 현실화되는 모양새다. 정부는 당장 한국을 겨냥한 행정 명령은 없지만 현지에 인력을 파견하고 추이를 꼼꼼하게 살핀다는 계획이다.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기존 미국 무역 협정과 부문별 무역협정을 검토하고 FTA 상대국과 상호 호혜적이고 상호 유리한 수준을 달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수정 사항을 권고하라"는 내용의 '미국 우선 무역 정책' 각서(Memorandums)에 서명했다. 그러면서 상무부는 재무부·USTR과 협의해 미국 상품 무역 적자의 원인과 경제·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글로벌 추가 관세 등을 권고하라고 했다. 그 내용이 담긴 보고서 제출 기한은 4월 1일까지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