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EEZ 내 설치 부표 '철거' 확인…중국, '자발적 조치' 강조
일본, '중국 진의' 의심…해양 진출 야욕, 경계 늦추지 않아
일본, '중국 진의' 의심…해양 진출 야욕, 경계 늦추지 않아

중국 정부는 2023년 7월 센카쿠 열도 인근 일본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에 설치했던 부표를 제거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해당 부표가 사라진 것을 확인했으며, 중국 외교부도 "부표가 임무를 완료했고, 자발적으로 위치를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중국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양국은 비자 면제 재개, 수산물 수입 금지 해제 논의 등 관계 개선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번 부표 제거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중국의 진의를 의심하며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중국은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으며, 이번 부표 제거가 일시적인 조치일 뿐, 근본적인 입장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중국의 부표 제거는 양국 간 현안 해결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중국이 시행한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 해제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번 부표 제거를 계기로 양국 간 협상이 진전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하지만 미·중 갈등이라는 변수는 여전히 남아 있다. 중국은 미국과의 경쟁 속에서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양국 관계 개선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갈등은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중국과 일본의 관계 개선을 지지하는 동시에, 균형외교를 통해 자국의 이익을 보호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또한,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며, 역내 안보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주변국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