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트럼프 경제 정책 물가 자극 가능성 대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 문제를 놓고 힘겨루기를 계속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13060134055316b49b9d1da17379164136.jpg)
파월 의장은 12일(현지 시각) 미 하원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연준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이 계속해서 묵묵히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고, 경제 상황에 근거해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국민이 확신해도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금리는 인하돼야 한다"며 "이는 다가올 관세와 함께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며 속도 조절론을 내세우고 있다. 그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다시 3%로 치솟은 지표가 발표된 이날 하원 청문회에서 "물가 목표에 근접했지만, 아직 도달하진 못했고, 오늘 발표된 물가 지표 역시 같은 상황을 말해준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상원 청문회에서도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고, 아직 인플레이션 목표치(2%)에 이르지 않은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AP 통신은 이날 “다수의 연준 인사들이 트럼프 대통령 정부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면서 ‘관망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파월 의장도 이날 “연준이 다가올 ‘위험’과 ‘불확실성’에 잘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관세 전쟁을 시작함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치솟을 수 있다는 게 월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관세 부담을 떠안은 수입업자가 이를 제품 가격에 반영하면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밀어붙이고 있는 불법 이민자 추방도 물가를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1100만 명가량으로 추산되는 불법 이민자들이 농업·건설업·서비스업 분야의 핵심 노동력으로 자리 잡은 게 현실이다. 이들이 노동 현장에서 사라지면 식료품값, 주택 가격, 요식업 등의 서비스료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압박해도 연준이 현재의 금리 동결 기조를 올해 내내 유지할 것이라는 게 월가의 전망이다. 특히 1월 물가 지표가 나온 뒤 조기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고 미국 언론이 일제히 보도했다.
미국 노동부는 1월 CPI가 전월 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3년 8월의 0.6% 상승 이후 최대치다. 1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4% 상승하며 예상치를 넘었다. 이것 또한 지난해 3월 이후 최대 폭의 상승률이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