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 재무 베센트 '10년물 국채 금리 인하' 추진에 시장 분위기는 "글쎄..."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 재무 베센트 '10년물 국채 금리 인하' 추진에 시장 분위기는 "글쎄..."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 연방준비제도의 정책과 별개로 장기 금리 인하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이하 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전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미 행정부가 단기 금리보다는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 인하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나는 10년물 국채 금리에 집중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에 금리를 낮추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 규제를 완화하고 세금 감면 법안을 통과시키며 에너지 비용을 낮추면 금리는 자연스럽게 조정될 것이며, 달러 가치도 안정을 찾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시장 전문가들은 행정부의 접근법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는 "높은 정부 적자와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원하는 금리 인하 목표 달성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부 정책만으로 10년물 국채 금리를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고 지적한다. 브라이언 렐링 웰스파고 투자연구소 글로벌 채권 전략 총괄은 CNN과 인터뷰에서 "10년물 국채 금리는 연준의 금리 정책뿐만 아니라 시장 기대, 인플레이션 전망, 글로벌 경제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에너지 생산을 늘리고 규제를 완화한다고 해도 국채 금리가 단기간 내에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며 "장기적으로는 연준의 금리 정책과 미국 경제 전반의 수급 균형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케네스 쿠트너 윌리엄스대 경제학 교수는 마켓플레이스와 인터뷰에서 "원유 공급을 늘려 유가를 낮춘다고 해도 이는 일시적인 효과일 뿐,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 지출을 줄이면 적자 규모가 축소될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감세 정책은 재정 적자를 더욱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10년물 국채 금리는 4.51%(2월 10일 기준) 수준으로, 시장에서는 5%를 넘길 경우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세금 감면과 규제 완화를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려 하지만, 높은 정부 부채와 잠재적인 무역 갈등으로 인해 국채 금리 하락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조제 토레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N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경제 성장을 견인하면서도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억제하려 한다"며 "그러나 보호무역 정책과 관세 부과는 오히려 물가 상승을 초래해 국채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캐롤라인 리빗 백악관 대변인은 "정부는 불필요한 연방 지출을 줄이고 경제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이를 통해 미국 경제를 성장시키면서도 금리 하락을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정부효율부를 통해 정부 지출을 감축하고, 재정 건전성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접근이 실제로 10년물 국채 금리 하락으로 이어질지는 향후 경제 지표와 시장 반응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