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백악관, ‘멕시코만’ 명칭 고수한 AP통신 출입 차단 논란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백악관, ‘멕시코만’ 명칭 고수한 AP통신 출입 차단 논란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만(Gulf of Mexico)’ 명칭을 쓰는 주요 언론사 기자들의 백악관 출입을 잇따라 막아 논란이 일고 있다.

14일(이하 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미국 AP통신이 ‘멕시코만’ 대신 자신이 내린 행정명령대로 ‘아메리카만(Gulf of America)’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자 이틀 연속으로 AP 기자의 대통령 집무실 취재를 막았다.

CNN에 따르면 백악관은 지난 11일 대통령과 신설 정보효율부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백악관 회동에 이어 12일 열린 털시 개버드 미국 국가정보국장(DNI) 취임 행사에서도 AP 기자의 출입을 금지했다.

이같은 조치가 이어지자 AP통신은 즉각 반발하며 “정부가 언론사 보도 내용을 이유로 취재를 막는 것은 명백한 헌법(수정헌법 제1조)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AP 기자에 대한 출입 차단 조치에 대해 “대통령 집무실은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 곳이 아니며 취재 초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백악관의 권리”라고 주장했다. 레빗 대변인은 “멕시코만을 아메리카만으로 명명한 것은 공식 행정명령에 따른 사실”이라며 “언론사가 이를 ‘아메리카만’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은 사실을 외면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행정명령을 통해 멕시코만을 ‘아메리카만’으로, 알래스카 최고봉인 ‘데날리(Denali)’를 다시 ‘맥킨리산(Mount McKinley)’으로 명명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AP는 멕시코와 쿠바 등 여러 국가가 공유하는 멕시코만 명칭이 400년 넘게 쓰여 온 점을 들어 “전 세계 독자들에게 혼선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멕시코만’ 표기를 유지하되 트럼프 대통령의 새 명칭 결정을 기사에 병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백악관의 반복된 취재 제한 조치가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지적이 잇따른 가운데 줄리 페이스 AP통신 편집국장은 12일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대통령실이 보도 내용을 이유로 특정 언론사 기자의 출입을 막는 것은 언론 보도에 대한 보복 조치”라며 “이는 명백한 검열이며 미국 국민의 알 권리를 심각하게 저해하는 행위”라고 항의했다.

언론 단체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한 단체는 “정부가 특정 용어 사용을 강제하거나 이를 거부한 언론사를 징계하는 것은 심각한 표현의 자유 침해”라며 “이는 미국 헌법의 근본 취지를 무너뜨리는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