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 총통 "아시아 드론 허브로"...2028년 월 1.5만 대 생산 목표
전문가들 "중국 부품 공급망 극복이 관건" 지적
전문가들 "중국 부품 공급망 극복이 관건" 지적

라이칭더 총통은 취임연설에서 "대만을 세계 민주주의 국가를 위한 무인기 공급망의 아시아 허브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신임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국장 이반 카나파티도 "대만은 반도체 산업에서 보듯 드론 생산능력이 충분하다"며 지지 의사를 밝혔다.
대만 정부는 2028년까지 월 1만5000대 드론 생산체제를 구축해 생산액을 300억 대만달러(약 9억 달러)로 늘린다는 목표다. 현재 대만에는 40여 개 드론 관련 업체가 있으며, 연간 생산액은 2억9000만 대만달러 수준이다. 세계 드론 시장은 2022년 300억 달러에서 2030년 550억 달러로 성장이 전망된다.
그러나 중국의 부품 공급망 장악이 걸림돌이다. HY테크의 다니엘 추 CEO는 "정부용 드론은 100% 자체 부품을 사용하지만, 상업용은 여전히 중국 부품에 의존하고 있다"며 "중국산이 아닌 부품은 3~4배 비싸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이 대만 소방국에 드론을 공급하는 미국 스카이디오에 대한 배터리 공급을 차단한 사례는 공급망 위험을 잘 보여준다.
외교부는 미국·일본·유럽과의 협력도 추진한다. 린치아룽 외교부장은 "대만에 필요한 것은 시장과 주문"이라며 지난해 11월 리투아니아를 방문해 드론 협력을 논의했다. 미국-대만 비즈니스협의회의 루퍼트 해먼드-챔버스 회장은 "페가트론, 콴타컴퓨터 등 하드웨어 제조기업들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다만 정치적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야당이 장악한 입법부가 드론 산업단지 예산을 삭감했고, 트럼프의 대만 정책도 불투명하다. 전문가들은 "유럽 기업들이 정권 교체에 따른 투자 리스크를 우려한다"며 장기적 협력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