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테슬라, 인도 시장 진출 '잰걸음'...전기차 선적 채비

글로벌이코노믹

테슬라, 인도 시장 진출 '잰걸음'...전기차 선적 채비

13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왼쪽)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13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왼쪽)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인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는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앞으로 몇 달 안에 뭄바이 근처 항구로 수천 대의 차량을 선적할 것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20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테슬라가 올해 3분기 경에 뭄바이, 델리 및 벵갈루루 등 3대 도시에서 전기차 판매에 나설 것이라고 보도했다.

테슬라가 인도에 출시할 모델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과 중국 및 독일 공장 중 어디에서 생산된 전기차를 인도에 출시할지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소식통들은 현재 인도와 미국 사이에 진행 중인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도입 모델과 생산 공장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소식통들은 또한 현재 인도가 수입 자동차에 부과하는 110%의 실효 수입 관세를 인하할지가 주요 쟁점이라고 덧붙였다.
테슬라는 앞서 2022년에도 인도 진출을 시도했지만, 높은 관세율 등의 문제로 계획을 철회했다.

테슬라의 인도 시장 진출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주 미국 방문 당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면담한 뒤 급물살을 탔다.

테슬라는 이번 주 인도 뉴델리와 뭄바이에 있는 두 곳의 매장을 임차하기로 하면서 인도 시장 진출이 임박했다는 관측을 낳기도 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테슬라는 또한 이번 주 인도에서 매장 및 고객 관리 매니저를 포함한 13명의 중간 관리자를 채용하는 공고도 냈다.

인도 정부는 현재 미국과의 광범위한 무역 협정의 일환으로 전기차 수입 제한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소식통들은 인도가 현재 8000대인 전기차 수입 한도를 최대 5만대로 늘리는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관세를 낮추고 일부 차량에 대해 수입 추가 부과금을 감면하는 등의 논의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현재 가격이 4만 달러 이상인 차량에 대해 110%의 실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머스크는 그동안 인도의 전기차 수입 관세가 지나치게 높다고 비판하면서 인도 정부에 관세 인하와 추가 부과금 철폐를 계속 요구해왔다.

다만 인도 현지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테슬라의 인도 시장 진출이 자국의 전기차 산업에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인도의 전기차 시장이 중국에 비하면 아직 초기 단계지만, 수입 쿼터 증가와 관세 인하가 단행되면 테슬라가 최근의 판매 부진을 극복하는 데 있어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