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가 최근 들어 인도 시장 진출을 다시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인도 정부의 수입 관세 인하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가장 저렴한 모델인 '모델3'의 가격이 대개의 인도 소비자들에게는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각)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CLSA는 최근 낸 보고서에서 “인도가 테슬라 차량에 대한 수입 관세를 기존 100%에서 15~20%로 인하하더라도 도로세와 보험료 등 추가 비용을 포함한 테슬라 모델3의 인도 내 온로드 가격(차량 구매 시 실제로 내야 하는 최종 가격)은 약 4만달러(약 5800만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내에서 테슬라 모델3의 출고가는 3만5000달러(약 5000만원) 수준이다. 하지만 인도 시장에서는 높은 수입 관세와 각종 부가세로 인해 차량 가격이 크게 상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CLSA는 "테슬라가 인도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순 수입에 의존하기보다는 현지 생산시설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인도 정부는 테슬라가 인도에 약 6억달러(약 8600억원)를 투자해 현지 생산공장을 설립할 경우 연간 8000대까지 수입 관세를 15%로 낮춰주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테슬라가 인도 시장에 진출하는 데 있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CLSA는 인도 소비자들의 높은 가격 민감성을 고려할 때 단순한 관세 인하만으로는 테슬라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인도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과 유지비용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현지 생산 없이 단순 수입 모델로는 인도 내 완성차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인도 전기차 시장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의 보급률은 중국, 유럽, 미국 등과 비교해 크게 뒤처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자동차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인도 내 전체 신차 판매량 중 전기차 비중은 약 2%에 불과하다.
가격 경쟁력의 중요성은 인도 내 이륜차 시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CLSA는 "할리데이비슨의 'X440' 모델은 로얄엔필드 '클래식 350'보다 약 20% 비싼 가격임에도 월평균 1500대 판매에 그치고 있다"며 "반면에 '클래식 350'은 월평균 2만8000대가량 판매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인도 소비자들이 브랜드 가치보다는 가격 경쟁력을 우선시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테슬라는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해 최근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 지난 18일 테슬라는 기업인용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에 올린 채용 공고를 통해 인도 내 인력 채용을 시작했다. 테슬라는 델리와 뭄바이 등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모델3을 포함한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테슬라의 인도 진출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년 전부터 추진해 온 목표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인도 정부와의 관세 문제 및 현지 생산 시설 구축 논의가 지연되면서 진출이 늦어졌다. 최근 관세 인하 논의가 진전을 보이면서 테슬라의 인도 진출에 다시 속도가 붙고 있다.
CLSA는 "테슬라가 인도 시장에서 장기적인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현지 생산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단순히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하기보다는 인도 소비자들이 접근 가능한 가격대의 전기차 모델을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테슬라가 인도에 현지 생산공장을 설립할 경우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인도 내 전기차 생태계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정부 또한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세제 혜택과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테슬라의 성공 여부가 인도 전기차 시장 성장의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