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테슬라 애플

트럼프 관세폭탄으로 물가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소매판먀마저 부짅하게 나오면서 뉴욕즈시에 비상이 걸렸다. 믹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18∼19일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은 동결을 전망하고 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금리동결을 98% 확신하고 있다. 엔비디아 GTC도 변수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이 관심이다. 지난 1월 FOMC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연방정부 예산 삭감, 불법체류자 추방 등 거시경제 환경이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파월 의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나 인플레이션, 성장률 전망과 관련해 어떤 평가를 내놓을 것인지, 향후 통화정책과 관련해 어떤 방향을 제시할 것인지 이목이 집중된다. 비둘기파(완화적 통화정책 선호)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양적긴축(QT) 일시 중단 여부도 주요 관심사다. 연준은 오는 9월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관세 부과로 인플레이션이 악화하면 금리를 내리기 어려워질 것이란 의견도 적지 않다. 앞서 연준은 올해 금리인하 전망을 기존 4차례에서 2차례로 낮춘 바 있다.
FOMC에 앞서 18~19일에는 일본은행(BOJ)이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한다. BOJ는 추가 금리인상 압박을 받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엔화 약세를 지목한 데다, 연준의 금리인하 전망이 후퇴하고 있어서다. 신선식품 제외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전년 동기대비 3.2% 상승, BOJ 목표치(2%)를 크게 상회했다. 월 금리인상 후 아직 두 달밖에 지나지 않아 동결 전망이 우세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후 기준 시장은 금리인상 확률을 1%로 봤다. CPI의 경우 수입물가 상승 등 일시적 요인 때문이란 게 BOJ의 일관된 판단이다.
BOJ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에 대해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가 관전 포인트다. BOJ 내부 관계자는 “1월 금리인상의 영향을 아직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번 회의에선 미국의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니혼게이자이는 BOJ가 글로벌 경제의 하방 위험을 경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20일에는 영란은행(BOE)이 통화정책회의를 개최한다. 지난달 금리를 인하한 데다 미국의 관세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만큼, 이번엔 금리동결을 통해 시장 안정화에 집중할 것이란 예측이다.
중국 인민은행도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결정한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10월 1년물 LPR을 3.1%로, 5년물 LPR은 3.6%로 각각 인하한 뒤 지금까지 같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달 초 양회에서 경기부양 의지를 드러낸 만큼, 추가 인하 여부가 주목된다. 2월 CPI가 끈적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영국은 거시환경 변화에 따라 성장과 인플레이션 전망을 재고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춘계 임금협상에서 높은 상승률을 보이면 다음 움직임은 인상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이번 주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 다수가 동결을 선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미국 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상반기 미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진 상태지만, 9월은 되어야 인하가 가능할 것이라는 신중론도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월 기준금리 동결(4.25∼4.50%) 후 기자회견에서 "관세·이민·재정정책·규제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고 최근에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인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방위적인 관세 무기를 휘두르고 있다. 취임 직후 중국·멕시코·캐나다를 상대로 관세 포문을 연 데 이어 이달 12일에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내달 2일 국가별 '상호 관세'도 예고한 상태다.
이번에 발표될 분기 경제전망(SEP)에서 연준이 트럼프 집권 후 미국 경제 성장률·인플레이션 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지도 관전 포인트다. 연내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가늠할 수 있는 점도표(연준 인사들의 기준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도표)와 양적 긴축 속도 관련 입장도 주목된다. 뉴욕증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를 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이번 달 연준의 금리 동결 확률을 98%로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주에도 관세 관련 발언을 이어갈 지 주목된다. 지난주 S&P 500에 속한 기업의 시가총액은 지난 13일 기준 2월 19일 고점 대비 약 5조3000억달러가 증발하기도 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때문이다. 여전히 투자심리가 위축돼 있는 상황에서 각종 경제 지표와 Fed의 통화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투자자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황 CEO는 오는 17~21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리는 ‘GTC 2025’에 참가해 행사 둘째 날인 18일, 세상을 변화시키는 인공지능(AI)과 가속 컴퓨팅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조연설을 한다. 황 CEO는 19일에는 전 세계 기자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진행하고, 20일에는 미래 양자 컴퓨팅 기술 동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페덱스, 마이크론테크놀러지, 나이키 등은 이달 20일 실적발표에 나선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오는 18∼19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아사히신문과 NHK가 14일 보도했다. 일본은행 내부에서는 지난 1월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정책 등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행은 1월 하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리를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올렸다. 엔화 가치가 최근 올라 수입품 가격이 내려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일본은행이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고 아사히는 해설했다.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부추기며 안전자산 투심을 자극하자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했다.뉴욕상업거래소에서 이날 4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전장보다 0.3% 오른 온스당 3001.1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장중에는 한때 3017.11달러까지 치솟았다. 선물 가격 종가가 3000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현물 가격 역시 한때 3000달러를 돌파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기준 이날 오전 6시께 온스당 3004.86달러에 거래됐다. 현물 거래가가 3000달러를 넘은 것도 최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난 1월 한 달간 18미터톤의 금을 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 선물 가격은 올해 들어 12.4% 상승했다. 금 현물을 추종하는 ‘SPDR 골드셰어스’ 상장지수펀드(ETF)도 같은날 역대 최고 가격인 275.24달러를 기록했다. 맥쿼리그룹은 올해 3분기 금값이 온스당 35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이 기간 금값이 온스당 평균 3150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코스피가 17일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2,610대로 올라섰다. 삼성전자[005930]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5.3% 급등했고 SK하이닉스(0.73%), 주성엔지니어링(11.96%), 하나머티리얼즈[166090](4.27%) 등 다른 반도체주도 강세를 보였다.중국의 1~2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중국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점도 시장에 안도감을 불어넣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6.81%), 한국항공우주[047810](10.85%), 현대로템[064350](7.28%) 등 대표 방산주가 장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상승세에 탄력을 줬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0.46%), 기아[000270](-0.7%)를 제외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71%), 현대차[005380](0.25%), NAVER[035420](1.44%), KB금융[105560](0.77%) 등 다수 종목이 강세를 보였다. 콜마홀딩스[024720]는 미국 행동주의 펀드 달튼인베스트먼트의 지분 확대 소식이 전해지자 29.97% 오른 9천280원을 기록, 상한가에 장을 마쳤다.알테오젠[196170](12.12%)이 큰 폭으로 오른 가운데 HLB[028300](5.0%), 리가켐바이오[141080](4.36%)의 상승 폭도 눈에 띈다. 에코프로비엠[247540](-1.51%), 삼천당제약[000250](-0.31%), 클래 시스[214150](-2.12%) 등은 약세를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전략적으로 비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미 정부가 세금으로 가상화폐를 구매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직접 매입을 기대했던 시장에 실망감을 안겼다. 여기에 미 경기 침체 우려 확산으로 뉴욕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투자 심리를 더욱 위축시켰다. 비트코인은 그동안 나스닥 지수의 등락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아왔다. 백악관에서 열린 디지털 자산 정상회의와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전략 비축 행정명령이 이미 발표된 가운데 가상화폐 시장은 단기적인 긍정적인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대신 관세 전쟁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투자 심리를 압박하고 있다.
가상화폐 지급준비자산에 유럽중앙은행이 거부의사를 표했다.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이더리움 등 가상 암호화폐로서는 큰 " 실망"이다. 유럽은행이 거부의사를 공식화함에 가상암호화폐 준비자산 입법을 추진하고 있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보가 주목된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비트코인이 ECB 일반이사회에 참여하는 어떤 중앙은행의 지급준비금에도 도입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라가르드 총재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준비금은 유동적이고 안전해야 하며 자금세탁 등 범죄행위 의혹에 시달려서는 안 된다는 견해가 정책이사회에도, 아마 일반이사회에도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비트코인 준비금 도입에 부정적이라는 뜻을 유럽연합(EU) 모든 회원국을 상대로 명확히 한 발언이다. ECB 일반이사회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국가 중앙은행 총재만 참여하는 정책이사회와 달리 EU 모든 국가를 아우른다.
라가르드 총재는 최근 알레시 미흘 체코 중앙은행 총재가 보유 자산 다각화 차원에서 준비금 약 5% 정도로 비트코인 매입을 검토한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그와 좋은 대화를 나눴다"며 준비금이 안전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대를 이뤘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기간 "미국을 가상자산의 수도로 만들겠다",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비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이끄는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달 "우리는 비트코인을 소유할 수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라가르드 총재는 이날 ECB 통화정책이사회가 다시금 주요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데 대해 "우리는 여정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는지 알고 있다"며 추가 인하를 시사했다. 그는 "어느 정도의 속도로, 어떤 순서로, 얼마만큼의 규모로 할지는 앞으로 이뤄질 자료 수집과 분석에 달렸다"고 말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가리켜 "세계적인 부정적 영향"을 낳을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유럽중앙은행은 유로존 경기 둔화 우려에 대응하고자 작년 9월부터 이날까지 4차례에 걸쳐 주요 정책금리를 총 125bp(1bp=0.01%포인트) 내렸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