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 5일 사무실 출근’ 행정명령과 관련해 연방정부 공무원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와 입소스가 공동으로 진행한 여론조사를 인용해 더힐이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0일까지 연방정부 공무원 571명을 포함한 미국 공무원 61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 따르면 미국 연방정부 공무원의 절반가량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린 사무실 복귀 명령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특히 자신의 업무가 재택으로도 가능한 응답자 가운데는 85%가 복귀 조치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한 반면, 재택이 어려운 직군에서는 70%가 출근 명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직후 “출근 명령을 따르지 않는 직원은 해고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겸 대통령 직속 정부효율부 수장은 약 한 달 전부터 “복귀 명령을 무시한 공무원들은 이번 주부터 행정휴직 조치에 들어간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달 초 X를 통해 “대통령의 지시에 1개월 이상 경고 기간을 주었다”며 “이번 주부터 복귀하지 않는 이들은 행정휴직 대상”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사무실 복귀 명령과 구조조정은 정부예산 절감을 목표로 한 정부효율부 주도의 대대적인 조직 개편의 일환으로 최근 연방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정부 기능 마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연방 공무원 10명 중 6명, 즉 응답자의 57%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속 기관에 내린 대부분 또는 전부의 행정명령이 ‘불법적’이라고 답했으며 이 가운데 71%는 이같은 대규모 정리해고와 구조조정이 정부 운영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응답자 가운데에서도 38%는 정부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20%는 현재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나머지 80%는 아직 이직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직무를 재택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 연방 공무원의 37%였고 우정국(USPS) 직원을 제외할 경우 46%로 늘었다. 이들 중 3분의 1 이상은 “복귀 후에도 사무실에 배정된 책상이나 공간이 없다”고 답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