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2월 근원 PCE 물가, 전년 대비 2.8%↑...관세 우려 속 예상치 상회

글로벌이코노믹

美 2월 근원 PCE 물가, 전년 대비 2.8%↑...관세 우려 속 예상치 상회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쇼핑몰에 의류가 전시돼 있다. 사진=EPA/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쇼핑몰에 의류가 전시돼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주목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지난달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현지시각)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에 따르면 2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8%,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이는 다우존스가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각각 2.7%와 0.3%를 소폭 웃도는 수치다.

근원 PCE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지표로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추세를 나타내는데 더 적합한 지표로 인식된다.

모든 품목에 대한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5%, 1월 대비 0.3% 상승하며 전망치에 부합했다.
PCE 가격지수와 함께 발표된 2월 명목 개인소비지출은 전월 대비 0.4% 증가하며 이코노미스트 전망치인 0.5%를 밑돌았다.

반면, 월간 개인 소득은 전월 대비 0.8% 증가하며 예상치(0.4%)를 크게 웃돌았다.

지표 발표 이후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낙폭을 늘렸고 국채 수익률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외환 시장에서는 달러화가 소폭 상승했다.

스와프 시장에서 트레이더들은 올해 연준이 25bp(0.25%포인트)씩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을 유지했고 첫 번째 금리 인하 시점은 7월로 예상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PCE 지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이 물가 상승 압력을 더욱 부추길 위험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매체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무역 정책이 기업 활동과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면서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이나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고 평가했다.

지난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이 ‘일시적’이라고 평가했지만, 일부 연준 위원은 더 신중한 태도를 내비치기도 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