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만, 트럼프 관세 압박에 ‘에너지 수입 확대·자국 관세 인하’ 대응 검토

라이칭더 대만 총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라이칭더 대만 총통. 사진=로이터
대만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새로운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늘리고 일부 자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8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미국과 무역 흑자가 가장 큰 15개국을 겨냥한 보복성 관세 방침을 밝히며 이들 국가를 '더러운 15개국'이라고 지칭했으며 대만도 이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베센트 장관은 아직 구체적인 국가명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미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대만은 중국, 한국, 유럽연합(EU) 등과 함께 상위 15개국 안에 포함된다. 미국의 새로운 관세 조치는 다음달 2일 발표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대만 정부는 무역 불균형 완화를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대만 입법원 질의에 출석한 쾅쯔윈 대만 재정부 장관은 “건강보조식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한 수입관세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자리에서 쟝신팡 경제부 차관은 “미국산 에너지 제품 수입 확대를 통해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고 천연가스 공급 안정성도 높이려는 ‘예비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대만 국영 에너지업체 CPC는 이달 초 미국 알래스카 가스라인개발공사와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사업에 투자하기로 했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당시 “에너지 안보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차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데 대해 쟝 차관은 “이미 관련 대응 계획을 마련해둔 상태”라고 밝혔다.

한편, 대만 중앙은행은 전날 성명을 통해 대미 무역 흑자 확대에 대해 “구조적 요인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이며, 미국 정부도 이같은 사정을 인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대만은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에서 전년 대비 83% 증가한 1114억 달러(약 163조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등 첨단 기술 제품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결과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