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韓·中·日, 자유무역 원칙 재확인…트럼프 車관세 앞두고 공동 대응

글로벌이코노믹

韓·中·日, 자유무역 원칙 재확인…트럼프 車관세 앞두고 공동 대응

한국, 중국, 일본의 국기.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한국, 중국, 일본의 국기. 사진=로이터
중국, 일본, 한국이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를 앞두고 자유무역 원칙을 재확인하며 3국 간 경제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지난달 30일(이하 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성 장관,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이날 서울에서 열린 회담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 흐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3국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새로운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핵심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3국 경제·통상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3일부터 자동차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가운데 이뤄졌다. 일본과 한국은 미국에 자동차를 다량 수출하는 국가들로 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의약품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대해 ‘상호 관세’를 도입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한국 경제의 주요 성장동력이라는 점에서 업계 피해가 우려된다.

중국은 이미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재점화된 상태며 이번 미국의 관세 조치는 동맹국인 일본과 한국에도 예외 없이 적용될 것으로 보여 동아시아 3국이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최근 들어 미국과 대비되는 개방적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28일 베이징에서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곽노정 SK하이닉스 최고경영자(CEO) 등 글로벌 기업 경영진을 초청해 투자 확대를 요청했다. 이 자리는 중국 정부의 개방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로 해석된다.

3국 장관들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통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RCEP는 아시아 주요 경제권인 중국, 일본, 한국 등이 참여하는 다자간 무역체제로 미국은 참여하지 않고 있다.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일본 정부는 자국 일자리 보호 대책을 검토 중이며, 한국 정부도 자동차 산업을 위한 긴급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이미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